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천식 환자 137만 3,925명 중 65세 이상 고령 환자는 34만 5,729명(약 25%)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감소했던 환자 수는 2023년 다시 100만 명을 넘어섰고 이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7%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천식은 기관지 염증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면서 기침,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그러나 노인들은 숨이 차는 증상을 단순한 노화로 여기거나 감기로 오인해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으며 심장 질환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증상이 유사해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도 있다.
민주원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운동 후 쉽게 숨이 차거나 찬 공기에 노출되면 가슴이 조여오는 느낌이 들고 감기에 걸리면 한 달 이상 기침이 지속된다면 천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며 “담배 냄새만 맡아도 숨이 차거나 쌕쌕거리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노인 천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흡연은 천식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이므로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민주원 전문의는 “천식 환자는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관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라며 “비만한 경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체중 감량과 함께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라고 조언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