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의원실 사교육비 분석
일반고 대비 1.7배 달해
사교육 참여율도 가장 높아
일반고 대비 1.7배 달해
사교육 참여율도 가장 높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의 한 학원 광고문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쓰는 사교육비가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들보다 1.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16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수록된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자사고 진학을 원하는 초·중학생의 사교육비는 월평균 70만 600원으로 일반고 희망 학생(41만 9800원)보다 1.7배 더 많았다. 또한 외고·국제고와 과학고·영재학교를 희망하는 학생들도 각각 66만 700원과 64만 4700원으로 일반고 희망 학생보다 많은 금액을 사교육에 지출하고 있었다.
초등학생(66만 6900원)과 중학생(77만 2300원) 모두 자사고 희망 학생이 사교육비를 가장 많이 썼고, 사교육 참여율 또한 자사고 진학을 희망할 때 가장 높았다. 자사고 희망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93.05%로 일반고 희망 학생들(83.71%)과 비교해 9.34%p의 차이를 기록했다. 과학고·영재학교 희망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92.21%, 외고·국제고 희망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91.99%로 일반고보다 자사고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김문수 의원은 “자사고 지망 학생이 학원비가 많이 드는 것은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의대 쏠림’과 관련 있을 수 있다”며 “자사고, 외고, 과학고 등이 일반고보다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것은 우리나라 사교육비가 경쟁 비용이자 불안 비용이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