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서 취합·검증 소요 기간
기존 5개월서 2주로 확 단축
기존 5개월서 2주로 확 단축
1기 신도시 중 한 곳인 경기도 안양시 평촌 신도시.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도 일산과 분당 등 1기 신도시를 비롯한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 전자동의 시스템이 본격 가동된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그간 정비사업 현장에서는 사업 단계마다 필요한 서면동의서 취합과 검증에 과도한 인력·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탓에 전자동의 방식 도입에 대한 지속적 요구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도시정비법 개정과 노후계획도시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전자동의 시스템 운영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
기존 정비사업에서 토지 등 소유자의 동의서 징구·검증은 3000가구 기준 5개월 이상 시간이 걸렸다. 동의서 1회 징구에 약 1억원의 비용도 소요됐다. 하지만 전자동의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의서를 취합하면 검증까지 걸리는 시간은 단 2주로 단축되고 비용도 450만원으로 절감된다.
전자동의 시스템을 처음 사용할 땐 토지 등 소유자의 투표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토지 등 소유자의 개인 정보 동의서 취합과 검증이 필요하다. 또 노령층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을 배려하기 위해 오프라인 방식의 투표도 병행 추진해야 한다.
이번에 도입된 전자동의 시스템을 통해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단계별 준비 기간은 대폭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1기 신도시 선도지구를 시작으로 노후계획도시 특별정비 예정구역에서 주민대표단 구성을 위한 주민동의 절차에 활용될 전망이다.
이후에도 예비 사업시행자와의 협약 체결, 특별정비계획안 입안 제안, 사업시행자 지정 동의 등 토지 등 소유자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 모두 전자동의 시스템을 활용하면 된다. 아울러 조합 총회 등 추진 때 오프라인 총회와 함께 온라인 총회도 개최할 수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