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LG엔솔 김동명 "BYD 급속충전, 언터처블한 기술 아냐"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5기 정기주주총회서 향후 성장 전략 공유

"3년 뒤 매출 2배…승자 가려질 것"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사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김동명 사장은 20일 "2028년에는 2023년 실적의 2배에 이르는 매출과 밸류업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비전을 밝혔다.

중국 전기차·배터리 업체 BYD가 최근 공개해 화제가 된 급속 충전 기술에 대해선 "넘볼 수 없는 기술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김 사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개최된 제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차전지 산업이 변화의 한가운데 있는 지금 우리의 도전과 변화의 DNA로 만들어 나갈 성장 전략을 공유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 출범 이후 4년간 매출액, 수주잔고, 글로벌 생산 능력, 북미 점유율 모두 2배 이상 성장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다"며 "업계에서 가장 많은 생산거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글로벌 오퍼레이션 역량을 높였을 뿐 아니라, 지난 4년간 연평균 28%의 수주잔고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작년말 기준 약 400조원에 달하는 잔고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R&D 역량을 꾸준히 키워온 결과 전 세계 주요 시장에 출원한 7만여건의 특허를 바탕으로 압도적 기술리더십을 축적해왔고, 공급망 측면에서도 장기 공급계약∙지분투자 등을 통해 고품질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시기를 △제품 및 품질 경쟁력 강화 △구조적 원가 경쟁력 확보 △미래 기술 준비 등 근본적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로 진단했다.

또 김 사장은 최근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 관련 성과도 설명했다.

그는 "며칠 전 애리조나 법인에서 주요 고객과 다년간 연 10GWh 규모로 46시리즈를 공급하는 계약을 맺는 성과가 있었다"며 "차별적 강점이 있는 46시리즈와 고전압 미드니켈, LFP(리튬·인산·철), 각형 배터리 등을 중심으로 수주 모멘텀을 꾸준히 확보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최근 중국 전기차·배터리 업체 BYD가 공개한 급속충전 기술에 대해 "넘볼 수 없는 수준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주주총회 후 기자들과 만나 'BYD 급속충전 기술을 어떻게 보나'라는 질문에 "요소 기술을 잘 조합하면 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도 "기술은 항상 비용과 맞물려야 한다. BYD는 배터리와 차량을 다 갖고 있다. 그래서 다른 경쟁사보다 비용 최적화가 쉽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어 "(급속 충전 기술이) 언터처블(Untouchable)한 기술은 아닌 것 같다"고 평가했다.

앞서 BYD는 최근 5분 충전으로 400km를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한편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사 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 총 3개 안건이 의결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노컷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