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3%' 연금안에
"야합으로 미래세대에 '풀 대출'…저항 크다"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연금개악 저지 정치인 연대 제안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3.24. kch0523@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하지현 기자 =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24일 여야가 합의 처리한 연금개혁안을 거듭 비판하면서 자신과 비슷한 입장을 표명한 바 있는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와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과의 연대 논의를 제안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 내고 더 받는다'는 허울 좋은 합의 속에서 '더 받는다'는 금으로 된 잔에 담긴 술은 기성세대의 것이고 '더 낸다'며 1000명의 사람이 흘릴 피는 이제 갓 유치원에 다니고 있을 젊은 세대의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회는 지난 20일 본회의에서 '보험료율(내는 돈) 13%·소득대체율(받는 돈) 43%'를 골자로 하는 국민연금법 일부개정안을 재석 277명 중 찬성 193명, 반대 40명, 기권 44명으로 의결했다. 이에 따라 연금개혁의 한 축인 모수개혁 중 보험료율이 현행 9%에서 13%로 오른다. 오는 2026년부터 매년 0.5%씩 8년간 단계적으로 인상할 예정이다. 올해 기준 41.5%인 소득대체율 역시 2026년부터 43%로 오른다.
이어 "계주가 정부라도, 젊은 세대가 '우리는 못 받는다'라는 인식을 갖는 한 국민연금에 대한 저항은 커질 수밖에 없다"며 "계주와 다른 계원들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계가 무너지면 안 된다'는 당위만 반복하니 젊은 계원들이 반발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번 연금개혁안에 반대 의사를 밝혔던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를 향해 "미래 세대의 중요한 문제가 다른 정치 담론에 묻히지 않도록 한자리에 모일 수 있는 자리를 제안한다"며 "오늘이라도 뵙고 머리를 맞댈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어 "비겁한 야합에 맞설 용기 있는 정치인 간의 연대가 절실한 때"라며 "열거된 세분 외에 민주당의 대선주자들도 함께해주시길 기원하며 기다리겠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소위 '사법 슈퍼위크'라고 하는 이번 주를 앞두고 연금 관련 야합이 발표된 건, 의도가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자칫 사법 논란 속에 중차대한 연금 문제가 묻힐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며 "이 문제가 대선을 앞두고 주요 아젠다에서 빠지지 않도록 끌고 나가는 동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이날 탄핵소추안 기각 결과가 나와 복귀할 경우, 연금개혁안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는 "작년에도 연금개혁에 대해 정부안과 국회안이 논의된 바 있는데,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안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 적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 총리가 복귀하게 되면 그런 정부 측의 입장이 반영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난 주말 간 젊은 세대의 반응을 보고 톤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기대를 하게 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dyha@newsis.com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