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등 전국 학교 5·18 폄훼 서적 여전
법원 금지 전두환 회고록도 버젓이 대출
시민모임 “학생들 잘못된 역사 인식 우려”
교육 시민단체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24일 국가 독서교육 플랫폼 ‘독서로’를 분석한 결과 전국 학교 도서관에 5·18 왜곡 도서가 총 386권 소장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교육청이 역사교육 강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5·18을 왜곡하는 책들이 버젓이 학생들 곁에 놓여 있다”고 비판했다.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열린 독서모임에서 한 시민이 소년이 온다 책을 들고 있다. 인스타그램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법원으로부터 판매 및 배포 금지 판결을 받은 ‘전두환 회고록 1권’이다. 헬기 사격을 증언한 고 조비오 신부를 “사탄,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라고 지칭해 명예훼손 혐의가 인정된 이 책은 전국 8개 학교에서 여전히 소장 중이며, 대부분 대출이 가능한 상태였다. 광주의 한 사립학교는 1~3권 전권을 보유 중이었지만, 단체 문제 제기 이후 제적 처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외에도 5·18 시민들을 “북한 특수군”으로 지칭하고 천주교 정의 평화위원회를 “공산주의자”로 낙인찍어 실형을 선고받은 지만원 씨의 저서가 163권(7종),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북한 찬양곡으로 주장한 김대령 씨의 저서가 213권(2종) 학교 도서관에 소장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5·18의 상징성이 뚜렷한 광주에서도 26권의 왜곡 도서가 일부 학교 도서관에 비치돼 있었다. 시민모임은 “민주와 인권의 상징인 광주 교육 현장에 왜곡된 역사관이 침투할 수 있다는 사실은 더욱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시민모임은 “이번 조사 결과는 교육청의 지도·감독 부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며 “광주를 포함한 전국 시·도교육청이 즉각 전수조사와 함께 엄정한 후속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