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진·감사위 위원 선임 등 통과
국민연금, 최 회장 선임 반대 안 해
주주들은 주가·경영진에 불판 표출하기도
"코로나 이후 투자 모두 실패…신뢰 바닥"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SK빌딩에서 열린 SK 주주총회 모습. 심성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SK빌딩에서 열린 SK 주주총회에서 최 회장과 강동수 SK PM부문장 사내이사 선임, 이관영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 사외이사 선임 안건 등이 모두 통과됐다. 이로써 최 회장은 지난 2015년 8월 통합지주사 출범 이래 11년째 대표이사를 역임하게 됐다. 임기는 3년이다.
SK주식회사는 SK이노베이션 E&S, SK스퀘어,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바이오팜 등 주요 계열사를 지배하는 SK그룹의 지주사다. SK그룹이 구축한 '트리니티(삼위일체) 지배구조'는 이사회 중심 독립 경영을 수행하는 '멤버사', 그룹 최고 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 투자 전문 지주사인 'SK주식회사'로 연결된다.
최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빠른 운영개선(OI)을 통한 경영의 내실 강화를 강조한 만큼, 재선임 이후 SK 주요 계열사 지분 및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 여부가 주목된다. 최 회장은 그간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해왔다. 특히 배터리, 반도체, 에너지 등 핵심 사업군을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한편, 비핵심 자산을 과감히 정리하며 그룹의 재무 구조를 최적화하는 데 주력했다.
반면, 성장성이 낮거나 그룹의 핵심 전략과 맞지 않는 일부 계열사 및 자산은 추가 매각 대상이 될 수 있다. 최 회장은 지난 몇 년간 SK E&S, SKC 등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며 시장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 왔으며, 이번 재선임을 계기로 더욱 본격적인 행보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SK 장용호 대표이사 사장. SK제공 |
한편 지난달 기준 SK 지분 7.45%를 보유한 국민연금공단은 지난 2016년, 2019년, 2022년 번번이 최 회장의 사내이사 선임 반대해 왔으나,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별다른 의견을 표하지 않았다.
SK 주식을 오랫동안 보유했다고 밝힌 주주는 "그간 SK가 코로나 이후 투자한 건들이 모두 실패했다고 본다"며 "자사주 매입이나 주가수익비율(PBR) 약속을 모두 안 지키고, 경영진도 그대로 유지되면서 SK의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졌다"고 비판했다.
이에 장용호 SK 대표이사 사장은 "오늘 지적해주신 사항을 큰 경영과제로 생각한다"며 "올해도 자산 리밸런싱을 해나갈 것이고, 자회사들의 가치 제고를 위해 임원들이 힘을 합쳐 대처하겠다"고 답했다.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