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버드 국가정보국장 美상원 보고
"ICBM 테스트하며 재래식 역량 강화"
"김정은, 핵보유국 최소 묵인 원해"
털시 개버드 미국 국가정보국장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상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했다. /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최효극 기자 = 털시 개버드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25일(현지시간) "북한은 단시간 내 추가 핵실험을 감행할 준비가 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개버드 국장은 이날 상원 정보위원회의 모두발언 자료를 통해 "북한은 향후 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하기 위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를 지속하며 기술적 발전을 과시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핵보유국으로서 최소한의 '묵인된 인정'을 받기 위해 미국 본토뿐만 아니라 역내 미군과 동맹국을 겨냥할 수 있는 전략적·재래식 전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2019년 이후의 전략무기 개발 성과, 러시아와의 협력 심화, 그리고 북한 경제의 지속성을 대미 협상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이는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 협상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 제재 완화 필요성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수행을 위한 지원이 절실한 상황에서 이런 협력을 주도하고 있다며 미국 및 서방의 제재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러시아는 북한과 군사 및 자원 교환을 강화하는 한편, 중국의 금융 및 방산 지원에 더욱 의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러시아와 중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 및 그 동맹국들에 맞서 공동 군사훈련을 확대하며 결속력을 과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중국은 "가장 유능한 전략적 경쟁자"임을 재확인하면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경제 성장 둔화와 사회경제적 불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불안정성을 꼽았다.
중국은 고속비행무기, 스텔스 항공기, 첨단 잠수함, 우주·사이버 전쟁 자산, 광범위한 핵무기고 등 고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도 개선하려고 하지만, 대만흡수 통일과 관련한 군사적 갈등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고 있다고 봤다.
러시아는 "매우 강력한 경쟁자"로 규정했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다른 국가보다 많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 지도자들이 자국과 그들의 정권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대규모 전쟁이 발생할 경우 미국과 세계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