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울주군 신화마을. 불에 타 무너진 주택. 김윤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6일 오전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직동리 신화마을. 마을을 감싸고 있던 화장산은 곳곳이 불에 타 민둥산이 돼 있었다. 신화마을은 2013년에도 큰불을 겪었지만, 또다시 불길 속에 휩싸였다.
지난밤 강한 바람을 타고 날았든 불꽃이 마을을 덮치면서 탄내가 짙게 깔렸다. 화마로 폐허가 된 집 앞에서 이윤연(76) 할머니가 눈물을 글썽였다. 할머니는 "어제 마을 방송으로 대피하라고 해서 귀중품만 챙겨 마을 외곽으로 피했다"며 "연기가 자욱해 집이 어찌 되는지 알지 못했는데…인제 보니 내 집만 불타 없어져 버렸다"고 울먹였다.
화장산 아래 언양읍내 주민들은 밤새 뜬눈으로 불길을 지켜봐야 했다. 60대 한 주민은 "산불이 우리 아파트 바로 앞 대나무 숲까지 다가왔고 이웃들과 소방호스를 끌어다 뿌리며 막아냈다"며 "밤새 바람이 불었고 다시 번질까 봐 잠을 제대로 못 잤다"고 손사래를 쳤다.
2차선 도로를 따라 화장산 뒤편으로 돌아가자, 사찰 '길상사' 자리가 쑥대밭이 돼 있었다. 사찰 지붕은 산불 열기로 엿가락처럼 휘었고, 법당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불에 탔다. 산불 현장에서 한 경찰관은 "화장산 산불로 산 아래 울산양육원 85명 등 주민들을 긴급 대피시켰는데, 그때 사찰 스님이 한 분이 계셨다"면서 "다행히 빠른 대피로 다행히 큰 인명피해는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사찰 주지 스님은 불을 끄던 중 발목 골절을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울주군 화장산 뒷편 사찰이 불에 타 무너져 있다. 김윤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화장산에서 20㎞ 정도 떨어진 울주군 온양읍 대운산은 여전히 불길이 치솟고 있었다. 산 아래 귀지마을에 사는 60대 주민은 "집 뒷산까지 불이 내려와서 이웃집이랑 대야에 물을 받아 정신없이 뿌렸다"며 "소방차가 오면서 불길이 잡혀 건물 피해는 없지만, 텃밭과 뒷산에 있던 산소가 타버린 것 같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25일 정오. 울산 울주군 대운산 자락에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김윤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운산 인근 양달마을 등 6개 마을 주민들은 산불 진행 방향에 따라, 대피를 반복하고 있다. 산불 대피소 중 한 곳인 울주군 온양읍행정복지센터 3층 강당에는 20여명의 주민이 대피해 있었다.
산림당국은 울주지역 산불 진화에 총력 대응 중이다. 다행히 25일 정오 화장산 뒤편에서 시작한 산불은 26일 오전 8시쯤 주불이 잡힌 상태다. 이 불은 20여 시간 강한 바람을 타고 63㏊를 태우고, 주택과 축사, 사찰 등 여러 채의 시설물을 잿더미로 만든 뒤 가라앉았다.
불이 꺼진 화장산. 김윤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산불이 좀처럼 잡히지 않는 직접적인 이유는 간밤 내내 거센 바람이 강풍 특보 수준으로 몰아친 데 있다"며 "정부는 산불 진화를 최우선으로 가용한 인력‧장비를 총동원해 산불 확산 고리를 단절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신속한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위해 경남 산청, 울산 울주, 경북 의성, 경남 하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