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AFPBBNews=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1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600만달러(약 87억원)도 안 되는 예산으로 오픈AI의 챗GPT에 필적할 만한 AI 모델 'R1'을 선보여 업계를 충격에 빠뜨린 가운데, 중국 기술 기업들은 기다렸다는 듯 가성비 AI 모델을 잇달아 시장에 쏟아내고 있다.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에 따르면 중국에 등록된 생성형 AI 서비스는 300여가 넘는다.
지난 2주 사이에만 10가지 넘는 AI 모델이 새로 공개되거나 업그레이드됐다. 바이두는 딥시크의 R1을 직접 겨냥해 '어니 X1'을 출시했고, 알리바바는 최신 AI 기술을 탑재한 AI 비서 '쿼크'의 새 버전을 공개했다. 텐센트는 챗봇 위안바오를 통해 자체 AI 모델인 '훈위안 T1'의 최신 버전을 선보였고 딥시크는 'V3' 모델을 업그레이드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AI 모델의 신속한 기술 개선과 수정은 단순히 기업들이 딥시크 성공에 동참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계 표준과 기준을 설정하려는 노력이자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키우려는 시도라고 의미를 짚었다.
바이두가 밝힌 어니-X1의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기업용 가격은 입력 토큰 100만개당 2위안(약 400원), 출력 토큰 100만개당 8위안(약 1600원) 수준이다. 이는 딥시크 R1(각각 800원, 3200원)에 비해서도 절반 수준이고, 미국 업체 오픈AI의 추론형 AI 모델인 o3-미니(각각 약 1600원, 6400원)의 1/4 정도다.
실리콘밸리에서 AI 솔루션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아마드 아와달라 역시 중국산 AI 모델의 범람은 "큰 문제"라면서 "AI 생태계 전반에서 기업 마진을 크게 압박하는 추세가 곧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AI 모델 개발업체뿐 아니라 산업 성장을 주도하는 대형 AI 기업들도 마찬가지"라면서 "딥시크의 저비용 모델이 복제될 경우 고가 AI 반도체를 생산하는 엔비디아도 기업 가치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중국이 강력한 하드웨어 제조 역량을 가진 만큼 AI 모델이 더 저렴하고 접근성이 좋아지면 AI를 탑재한 기기 수요도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세미 기자 spring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