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로 MBK가 거센 비판 여론에 휩싸인 것에 대한 책임 및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김광일 MBK 파트너스 부회장 [사진=뉴스핌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6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인 글래스루이스를 비롯해 유럽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PIRC은 김 부회장의 이사회 진입에 반대했다.
미국 최대 연기금인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금 캘퍼스(CalPERS)와 캘리포니아 교직원 연금 캘스터스(CALSTRS)도 같은 의견이었다.
서스틴베스트는 지난 22일 발표한 의안 분석 보고서에서 "과다 겸직으로 충실의무를 다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며 김 부회장을 반대했다. ESG기준원과 ESG연구소, ESG평가원, 아주기업경영연구소도 김 부회장의 고려아연 이사진 진입을 반대했다.
홈플러스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김 부회장의 과도한 겸직 문제는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을 둘러싼 기자회견에서도 도마 위에 오른 바 있다.
김 부회장이 직책을 맡고 있는 곳은 대표이사 1곳, 공동대표이사 2곳, 사내이사 1곳, 기타비상무이사 13곳, 감사위원 1곳 등 총 18개에 달한다. 경영책임이 막중한 기업들을 문어발식으로 동시에 관리하면서 홈플러스 운영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된 이유다.
이런 점이 알려지면서 김 부회장이 여전히 고려아연 이사 후보로 올라 있는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확산했다. 여기에 국세청 특별세무조사에 이어 지난 19일 금융감독원이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검사에 착수했다.
강성두 영풍 사장 [사진=뉴스핌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성두 영풍 사장 역시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로부터 반대 권고를 받았다. 서스틴베스트는 강 사장에 대해 "환경 및 산업안전 관련 리스크 관리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아 적격성 요건이 결여됐다"고 판단했다.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는 오는 28일 고려아연 주주총회에 앞서 발표한 의안 분석 보고서에서 대체로 고려아연 현 경영진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여기에 일부 MBK·영풍 측 이사 후보들에 대해서는 이사회 독립성 강화 차원에서 찬성을 권고하는 분위기다.
아울러 고려아연 현 경영진 측이 주주가치 제고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제안한 ▲이사 수 상한 설정 ▲분리 선출 가능한 감사위원 수 상향 ▲사외이사의 이사회 의장 선임 ▲배당기준일 변경 ▲분기배당 도입 등 정관 변경안에 모두 찬성을 권고하고 있다.
kimsh@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