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가 26일 국내 기업인들과 회동을 가진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사티아 나델라 MS CEO, 조주완 LG전자 사장, 현신균 LG CNS 사장. 조주완 LG전자 사장 링크드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5일 KT가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에서 개최한 'AX 리더 써밋 2025'에서 사티아 나델라 CEO와 국내 대기업 경영 리더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영섭 KT 대표, 송창현 현대자동차그룹 사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김유열 EBS 사장. KT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 AI 서밋 서울' 참석차 방한한 사티아 나델라 CEO가 지난 25일부터 이틀간 국내 주요 기업들과 연쇄적으로 회동을 갖고, MS의 AI 전략과 맞닿은 ‘한국형 동맹’ 강화에 나섰다. 단순한 고객 접점 차원을 넘어, 애저, 코파일럿 등 자사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기술 파트너십과 시장 공조를 구체화하며, MS 중심의 글로벌 AI 연합 구상에 한국을 본격적으로 편입시키는 행보로 읽힌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나델라 CEO는 서울 양재에서 열린 ‘MS AI 서밋 서울’ 행사 직후 LG전자 조주완 CEO과 별도 미팅을 갖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 현신균 LG CNS 사장도 자리를 같이 했다. 나델라 CEO는 이날 오전 국내 AI 스타트업 대표들과의 간담회도 진행됐다. 그는 전날 서울 종로구 광화문 사옥에서 KT가 개최한 'AX 리더 써밋 2025' 행사에도 참석해 국내 기업인들을 만난 바 있다.
■LG전자 "MS와 파트너십 재확인"
LG전자는 나델라 CEO와 만나 현재 협업 중인 AI 사업 진행 상황을 공유하는 등 양사의 공고한 파트너십을 재확인했다. 조주완 CEO는 나델라 CEO와의 회동 이후 자신의 SNS에 "나델라 CEO와 서울에서 만나 대화를 나눴다"며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 현황, 데이터센터 협력, 인도시장 진출 전략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MS와 협력해 '스마트홈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확장하기로 했다. LG전자의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는 가사 생활 도우미 역할을 수행하는 만능형 AI 로봇으로, LG Q9 이동형 홈 허브는 MS의 애저 오픈AI와 빙 검색을 탑재했다.
양사는 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AI 분야 전략적 협력을 공식화했고, 실무 차원의 협력이 빠르게 진행 중이다.
■국가 AI 협력으로 이어진 KT-MS 동맹
특히 KT와의 협력은 기업 단위 협력을 넘어 국가 AI 역량 강화까지 포괄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확대되고 있다. KT는 지난해 9월 M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AX(인공지능전환) 액셀러레이터’를 표방하며 산업계 전반의 AI 확산에 나서고 있다. 지난 25일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각 산업군에서 AX 흐름을 선도하는 주요 대기업 경영 리더들과 만나 ‘AX 리더 써밋’을 열었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사티아 나델라 CEO는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 한국산업은행 강석훈 회장, 신한금융지주 진옥동 회장, HD현대 정기선 수석부회장, EBS 김유열 사장, 현대자동차그룹 송창현 사장 등을 만나 협력 기반을 다졌다.
MS AI 서밋에서는 별도 KT 전시관도 마련돼 그간 전사적인 파트너십 실행 노력에 기반한 구체적인 사업 현황이 공유됐다. KT는 올해 2·4분기 중 상용화를 목표로 마이크로소프트와 ‘한국적 AI’를 공동 개발 중이며 MS 차세대 AI 모델 개발 로드맵에 맞춘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KT 김영섭 대표는 "한국적 AI, KT SPC 등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AX 솔루션 개발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양 사 협력을 더욱 심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올해 초 CES에서도 독자 개발한 AI 피부 분석 솔루션을 공개한 바 있으며, 뷰티·디지털 기술 관련 스타트업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번 나델라 CEO와의 독대에서 MS의 AI 기술을 아모레퍼시픽의 뷰티 플랫폼 및 글로벌 전략과 어떻게 결합할 수 있을지 논의가 오간 것으로 관측된다.
yjjoe@fnnews.com 조윤주 임수빈 구자윤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