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1 (월)

노벨문학상 한강 등, 윤석열 파면 촉구한 414인의 작가들…“탄핵은 정의, 파면은 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탄핵은 정의, 파면은 시”…헌재 선고 지연에 ‘시인의 한 줄’이 울린다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1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외곽 린케뷔 도서관에서 웃으며 학생들의 시 낭송을 경청하고 있다. 2024.12.11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윤석열, 석 나가라, 열받는다.”

시가 곧 저항이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을 포함한 국내 작가 414명이 26일,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들’이라는 이름으로 성명을 냈다. 작가 서효인 시인의 제안으로 시작된 이 성명은 불과 나흘 만에 수백 명의 문인들의 ‘한 줄’을 모아냈고, 그 자체로 한 편의 시이자 시민 저항의 목소리가 되었다.

가장 눈길을 끈 건 한강 작가의 한 줄이다.

“훼손되지 말아야 할 생명, 자유, 평화의 가치를 믿습니다. 파면은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입니다.”

소설가 은희경은 “민주주의 세상에서 살고 싶다”고 썼고, 과학소설가 김초엽은 “제발 빠른 파면을 촉구합니다. 진심 스트레스 받아서 이 한 줄도 못 쓰겠어요”라는 현실감 가득한 문장을 보탰다.

시인 성기완은 “한 줄이 아니라 만 줄이라도 쓰겠어”라며 “윤석열 내란 우두머리 즉각 파면”을 외쳤고, 김뉘연 시인은 “파면하라. 파면하라. 파면하라.”는 삼단 구성의 외침으로 목소리를 냈다.

문단 전체가 ‘헌재 선고 지연’에 대해 분노와 탄식을 표현하는 가운데, 문학은 더 이상 ‘관조의 언어’가 아니었다.

시인 김민정은 “그날 우리가 함께 살아남을 수 있던 그 사실만 있는 그대로 쓰는 일이다… 국민이 직시했으니 헌재는 즉시다”라고 쓰며 작가로서의 의무를 던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도 이날 작가들의 선언을 언급하며, “한강 작가를 비롯한 작가들의 외침이 이어졌다. 각계각층에서 신속한 선고를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헌재는 국민의 신임을 배신하지 말고 오늘 중으로 선고 기일을 지정해야 한다”며 “검찰은 윤석열 정권을 위해 정적을 제거하는 데 혈안이 돼 있었고, 이재명 대표는 그 희생양이었다”고 비판했다.

kenny@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