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희생자 대부분 70·80대
거동 힘들어 제때 대피 못해
행정당국 미숙한 대처 논란
산촌 대피 매뉴얼조차 없어
거동 힘들어 제때 대피 못해
행정당국 미숙한 대처 논란
산촌 대피 매뉴얼조차 없어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 마을이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2025.3.26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2일부터 닷새간 이어지고 있는 경북 산불이 25일부터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경북 북동부 지역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인명 피해가 크게 늘어났다. 특히 화마가 순식간에 마을을 덮치면서 이동과 거동이 쉽지 않은 고령자들에게 피해가 집중됐다. 불이 붙은 작은 나뭇가지나 솔방울이 강풍을 타고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비화(飛火) 현상’으로 주택 등에 불길이 덮쳤지만 신속히 대피하지 못했다. 이에 산불 발생 시 고령자들을 위한 행정당국의 미숙한 예방 대처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경북 산불로 인해 현재까지 18명이 숨졌고 10여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영덕에서 7명이 숨졌고 영양(6명), 청송(3명), 안동(2명)에서 사망자가 발생했다. 대부분 사망자는 거동이 불편한 70·80대 고령자로 이들은 주택이나 집 마당, 도로 등에서 변을 당했다.
26일 경북 영양군 석보면 삼의리 삼의계곡 마을이 산불에 초토화돼 있다. 석보면에서는 산불로 인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2025.3.26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망자들 중에는 주민 대피를 이끌던 이장 부부도 있어 안타까움을 더했다. 영양군 석보면 삼의리의 이장 부부가 인근에 사는 처남댁을 구해 차에 태우고 가던 중 화마가 덮쳤다. 60대 남편과 50대 아내인 이장 부부는 60대인 처남댁을 차에 태우고 대피소 방향이 아닌 불길이 치솟는 삼의리로 다시 향했다가 모두 변을 당했다. 이에 주민들은 이장 부부가 다른 주민들도 구하려 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부부가 가던 길은 그 시간 대피 장소로 지정됐던 초등학교와는 정반대 방향이었다. 하지만 골바람을 타고 불씨가 도로를 덮쳤고, 차량이 화마에 휩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석보면사무소 관계자는 “삼의리 주민도 대피시키려고 돌아가던 중에 그렇게 된 것 같다”며 “통신이 끊어지기 시작하니 직접 마을을 돌려고 한 것 같다”고 말했다.
26일 경북 안동 하회마을에서 소방대원이 산불 불씨가 옮겨 붙지 않도록 마을 곳곳에 물을 뿌리고 있다. 2025.3.26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불길이 쉽사리 잡히지 않으면서 국가 중요문화재와 명소 등을 지키는 것도 여전히 비상이다.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에도 불길이 한때 5㎞ 근처까지 접근하면서 마을 전체가 흰 연기에 휩싸이는 등 온종일 긴장감이 감돌았다. 하회마을에는 이날 방사포 등 장비 8대가 투입돼 마을 가옥과 병산서원 주변 등에 연신 물을 뿌렸고 병산서원 편액 10여 점도 안동의 한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드라마 촬영지로 유명해진 안동의 인기 명소 ‘만휴정(晩休亭)’도 불길이 번지기 전에 덮어둔 방염포 덕분에 화마를 피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