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비상장주식’ DGIST 총장 83억 재산증가 1위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위공직자 2047명 재산 공개

70%가 늘어 평균 20억6314만원

이북5도委 이세웅 1046억 ‘최고’

구금됐던 尹대통령은 신고 유예

교육계 인사인 이건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과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이 올해 정부 고위 공직자 재산 증가 상위 1∼3위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대부분 비상장주식 평가액 상승으로 재산이 큰 폭으로 불어났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관보에 공개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 공개 대상자 2047명 중 이 총장의 재산 증가분이 83억2889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 교육감이 75억6333만원, 김 총장은 55억5897만원이다.

이는 주로 본인 또는 배우자가 보유한 비상장주식 평가액이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비상장주식은 액면가에서 실거래가를 우선으로 신고하도록 개선됐다”며 “실거래가를 알 수 없는 경우엔 평가액, 평가액을 알 수 없으면 액면가로 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 사람을 비롯해 정부 고위 공직자 중 70.3%(1440명)가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늘었다. 평균 재산은 20억6314만원이다. 재산 총액을 기준으로는 행정안전부 이북5도위원회 이세웅 평안북도지사가 1046억858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윤석열 대통령의 재산은 이번에 공개되지 않았다. 정기 재산 변동 사항 신고 기간이었던 올해 1월1일∼2월28일 윤 대통령이 구금돼 신고할 수 없어,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신고가 유예됐다. 이는 1993년 고위 공직자 재산 공개 제도가 도입된 뒤 처음이다.

대통령실 비서관급 이상 참모의 평균 재산은 약 48억6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생한방병원 이사장의 사위인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이 397억8949만원, 한국제강 일가인 김동조 국정기획비서관(353억7866만원), 굽네치킨 창업주 홍철호 정무수석(261억3790만원) 등의 순이다.

재산 심사 결과, 등록 재산을 허위로 기재하거나 중대한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기재한 경우엔 법적 조치한다. 지난해 징계 의결 요구 32건, 과태료 부과 267건 등이 이뤄졌다.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이날 공개한 재산 공개 대상자 132명의 평균 재산은 38억7520만원이다. 이형근 법원행정처 기획조정실장이 337억여원으로 가장 많다. 윤승은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195억여원, 이승련 사법정책연구원장 193억여원, 이숙연 대법관 152억여원, 문광섭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150억여원으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들을 포함해 100억원이 넘는 재산을 신고한 법관은 8명이다.

박진영·조병욱·김현우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