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민주당 대표 무죄 선고로 관심은 다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선고를 앞둔 헌법재판소에 쏠리고 있습니다. 어제(26일)도 선고일이 정해지지 않으면서, 이번 주 선고가 아닌 다음 달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편광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헌법재판관 8명이 어제도 평의를 마쳤지만 윤 대통령 탄핵사건 선고기일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안전 조치 등 문제로 최소 이틀 전 선고기일을 통지해야 하는 점과 오늘 오전 일반사건 40건에 대한 정기선고가 예정된 점을 고려하면 이번 주 선고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재판부는 지난달 25일 변론이 종결된 후 매일 오후 평의를 한다는 원칙을 정해두고, 수시로 윤 대통령 탄핵사건 심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 달 넘게 숙의를 이어가는 건데, 윤 대통령 탄핵사건을 최우선 심리하겠다는 당초 방침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2심 선고 결과가 나온 직후 선고기일을 통지하면 탄핵심판 심리에 정치적 고려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 수 있어서, 선고기일 통지마저 다음 주 이후에 하게 되면 선고일은 4월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헌재 관계자는 이재명 대표의 선고 결과와 윤 대통령 사건 선고는 전혀 무관하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예상보다 윤 대통령 선고가 늦어지고 있지만, 법조계 일각에서는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 임기가 끝나는 4월 18일 전에는 결과가 나올 거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헌재 측은 심리가 마무리되어야 파면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평결에 돌입할 수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히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남성, 영상편집 : 채철호, 디자인 : 조수인)
편광현 기자 ghp@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재명 민주당 대표 무죄 선고로 관심은 다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선고를 앞둔 헌법재판소에 쏠리고 있습니다. 어제(26일)도 선고일이 정해지지 않으면서, 이번 주 선고가 아닌 다음 달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편광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헌법재판관 8명이 어제도 평의를 마쳤지만 윤 대통령 탄핵사건 선고기일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안전 조치 등 문제로 최소 이틀 전 선고기일을 통지해야 하는 점과 오늘 오전 일반사건 40건에 대한 정기선고가 예정된 점을 고려하면 이번 주 선고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한 달 넘게 숙의를 이어가는 건데, 윤 대통령 탄핵사건을 최우선 심리하겠다는 당초 방침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2심 선고 결과가 나온 직후 선고기일을 통지하면 탄핵심판 심리에 정치적 고려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 수 있어서, 선고기일 통지마저 다음 주 이후에 하게 되면 선고일은 4월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헌재 관계자는 이재명 대표의 선고 결과와 윤 대통령 사건 선고는 전혀 무관하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남성, 영상편집 : 채철호, 디자인 : 조수인)
편광현 기자 ghp@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