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단체손님 데려온 버스기사, 뒷돈 요구하는게 맞나요?”[e글e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와 상관없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 여행사 버스 기사가 식당 사장에게 단체 손님을 데려오는 조건으로 리베이트를 요구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최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여행사 버스 기사 너무 당당하게 담뱃값 얘기하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A 씨는 여행사 버스 기사로부터 갑자기 전화를 받아 “30명 정도 갈 건데 인센티브나 담뱃값이 얼마냐고 물었다”라며 노골적인 리베이트를 요구받았다고 주장했다.

A 씨는 “우리는 그런 거 없다. 기사님 식사 정도 제공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하자 리베이트를 요구한 기사 B 씨는 “선배라는 사람이 전화가 와서 일부로 가는 건데 담뱃값도 안 주냐”고 되물었다.

당황한 A 씨는 “이게 일반적이고 통용되는 상식처럼 말하는데 맞을까요”라고 묻는 말에 B 씨는 “맞다. 거기가 관광지가 아니라서 통상 10% 정도는 주는 게 맞다”고 돈을 요구했다. A 씨는 다른 가게를 가라고 말하고 전화를 끊었다고 한다.

A 씨는 “이게 맞는지 모르겠다. 너무 당당하게 요구하길래 맞나 싶어서 글을 올려본다”며 “어려운 시기에 장사하는데 여기저기서 참”이라며 황당함을 내비쳤다.

자영업자 누리꾼들의 반응은 반으로 갈렸다. 대다수 자영업자 누리꾼들은 “리베이트는 한번주기 시작하면 끝이 없고 적반하장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 “리베이트는 호구잡히는 첫 번째 지름길이다”, “요즘이 어떤세상인데 리베이트 장사를 하냐”, “리베이트 준다는 식당으로 찍히면 가게평이 더 안 좋아질 수도 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리베이트를 제공해야 한다는 자영업자들은 “담뱃값 명목으로 10% 정도 주긴 한다”, “암묵적인 룰 같은 것이긴 하다”, “배달 대행사가 수수료 받아 가는 것과 비슷하다”, “사장님 마음이긴 한데 안주면 다음에 안 올 게 뻔히 보인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