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대만 유사시 주한미군 투입 필요…한국, 전략적 유연성 동의해야”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안보 전문가들, 상원서 공청회

“동맹 안보분담, 분담금에 산정 고려”

“중국과 분쟁 시 한국이 북한 대응 맡아야”

라이칭더 대만 총통(가운데)이 지난 21일(현지시간) 타이페이 쑹산 공군기지에서 장병들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미 상원 공청회에서 중국의 대만 침공 등의 비상 상황에 주한미군 투입이 가능해야 한다며 한국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대폭 증액 필요성을 언급한 가운데 동맹국의 안보 분담을 단순히 기여금 문제로만 보지 말고 우크라이나 지원 등도 분담 비용 산정에 고려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나왔다.

랜들 슈라이버 전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26일(현지시간) 상원 외교위원회가 개최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안보 분담 주제의 공청회에서 “너무 자주 비용 분담 문제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로 축소되고 있다”면서 “그러나 그것이 항상 전체 그림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지리적 난제’로 표현한 뒤 “이는 중국, 러시아, 북한과 같은 적과 경쟁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면서 “대만해협이나 서필리핀해, 동중국해 등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미국은 항상 원정팀으로 경기를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강력한 동맹과 파트너십은 시간과 거리의 제약을 극복하는 좋은 방법”이라면서 ▷역내 비상 상황에 대비한 동맹국의 자체 역량 개발 ▷현지 기지 구축 및 영공 이용 문제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위한 동맹국의 일상적 억제 활동 등이 동맹 평가 시 중요하게 여겨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우리는 방위비 분담에 대해 포괄적 시각을 갖고 인정할 만한 것은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리아나 스카일라 마스트로 스탠퍼드 프리먼스폴리국제학연구소 연구원 역시 “부담 공유가 재정적인 측면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다”면서 재정 외에 다른 분야에서도 동맹국이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군 군사시설 건설과 관련, “일본을 비롯해 많은 동맹국이 이미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면서 “한국은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잠재적인 (중국과의) 분쟁 시 한국이 북한에 대한 대응 책임을 맡도록 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측면에서 한국은 미국의 전략적 유연성에 동의해야 한다”면서 “미국이 한반도에 있는 미군을 한반도 밖의 비상 상황, 즉 중국과 관련된 상황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 국제개발처(USAID)나 미국의소리(VOA) 방송 등의 기능이 사실상 폐지된 것에 대해 “미국의 영향력 발휘에 상대적으로 중요하고 저렴한 도구”라면서 지원 재개 필요성을 언급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미군의 주둔 비용 분담 방식은 과거 유산에 해당한다면서 “많은 동맹국들은 50년 전보다 훨씬 더 큰 비용을 분담할 능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어떤 변화도 (동맹국을) 놀라게 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미국과 달리 의회 비준이 필요한 동맹국에 새 (분담) 협정을 설득할 수 있는 정치적 공간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국의 대 우크라이나 지원 등을 거론하면서 “동맹국의 비용 분담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는 것은 동맹 관련 사항 이외의 기여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실현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차 석좌는 대만 위기 상황과 관련, “대만에 대한 기회주의적 침략이 발생할 경우 한반도에서의 (미국) 군의 주둔, 후방 지원, 북한을 억제하는 한국의 능력에 대한 변화를 고려하는 정치적인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짐 리시 외교위원장(공화·아이다호)은 모두 발언에서 “한국은 냉전 때 국방비를 지속해 늘렸으며, 항상 GDP의 2%가 넘었다”면서 “현재 한국에는 강력한 방위산업이 있으며 미국의 조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과 협력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