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본·독일 등 타격 거론하며 미국과의 관계 경색 우려
FT "트럼프 무역전쟁의 중대한 확대"…전쟁계획 유출 논란 속 발표 주목도
트럼프 대통령 |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미국의 외국산 자동차 관세 25%부과 조치에 대해 주요 외신들은 26일(현지시간) 자동차 산업 전반에 침체를 가져올 뿐 아니라 동맹국과의 관계를 경색시키는 조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자동차 관세가 내달부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몇주 이상 지속된다면 산업 전반의 침체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진단을 소개했다.
WSJ에 따르면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는 자동차 부품도 관세 부과 대상이 된다고 가정했을 때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조립·생산되는 차량의 가격은 6천달러(약 880만원)가량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나단 스모크 콕스 오토모티브 수석연구원은 "결론적으로는 생산량이 감소하고 공급량이 부족해지면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콜로라도주에서 폭스바겐과 기아자동차를 판매하는 프레드 에믹은 "제조업체가 비관세 재고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거한다면 효과는 즉시 나타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관세 발효 이후 한두 달 내에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세 부과로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주요 자동차 수출국으로 한국과 일본, 캐나다, 독일, 멕시코 등을 꼽았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로 관세 부과 분야를 늘리며 무역 전쟁을 중대하게 확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조치가 유럽, 특히 미국으로 폭스바겐과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을 수출하고 있는 독일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가디언은 이번 관세 발표가 전쟁 계획을 민간 메신저로 논의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비등하고 있는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초부터 내달 2일에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해왔지만 이날 오후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 일정을 추가해 관세를 발표했다.
한국이 자동차 관세뿐 아니라 내달 2일 발표될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달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관보에 게재한 미국과의 무역 불균형 국가 10여개국에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이 포함돼있다면서 한국이 '더티 15'에 포함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eshin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