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26일 발표한 자동차 분야 관세에 대해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은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미국 내 차량 판매가격을 수백만∼수천만원 올려 미국 소비자들에 부담을 지울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가 세수를 연간 1천억 달러(약 147조 원) 늘리고 제조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공언하지만, 글로벌 공급망이 얽혀 있는 상황에서 관세 충격이 부메랑으로 되돌아와 미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타격이 더욱 클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미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외국산 승용차 및 경량트럭은 전체 차량 판매량의 절반가량인 약 800만대로, 액수로는 2,435억 달러(약 358조 원)에 이릅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외국 생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가 수입 자동차 가격은 물론 미국 브랜드 차량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미국 내 제조업체들이 수입산 경쟁 차량의 가격 인상과 부품 비용 상승을 고려해 미국 생산 차량의 가격을 함께 인상할 유인도 큽니다.
경제분석업체 앤더슨이코노믹그룹은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예고했던 25% 관세가 그대로 시행될 경우를 가정, 3열 풀사이즈 SUV 가격이 9천 달러(약 1,300만 원) 오르고, 크로스오버 전기차의 경우 최대 1만2,200달러(약 1,800만 원) 오를 수 있다고 추정하기도 했습니다.
투자 정보업체 울프리서치는 캐나다·멕시코 대상 25% 관세 시행을 가정했을 때 미국 내 차량 가격을 평균 3천 달러(약 445만 원) 올리고, 관세 대상국인 캐나다·멕시코산 모델 가격은 평균 7천 달러(약 1천만 원) 올리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캐나다에 전면적으로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가 다음 달 4일로 시행을 유예한 것도 이런 이유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미국의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는 미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경제지표에선 미국의 성장세가 이미 둔화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가 속속 감지되고 있습니다.
이성섭(leess@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