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산불 연기, 심장·폐질환-치매 위험 높여…‘N95 마스크’가 방어막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성=박형기 기자 oneshot@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남 지역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한 산불이 며칠째 이어지면서 지역 주민 건강에도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산불 연기는 유해 가스와 함께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미립자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산불 연기, 유해 물질 다량 함유

산불은 나무와 풀과 같은 식물뿐만 아니라 건물과 자동차 등 도시 시설물도 집어 삼킨다. 이로 인해 산불 연기에는 토양 및 생물학적 입자와 함께 화학물질, 금속, 플라스틱, 기타 합성 물질의 성분이 섞인다.

산불 연기는 일반적으로 대기 오염보다 독성이 더 강하다. 바람을 타고 수백 킬로미터를 이동할 수 있다.

안동=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에 따르면 산불 연기는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장마비, 뇌졸중, 심정지와 같은 더 큰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면역력 약화와도 연결된다.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2023년 캐나다 서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영향으로 그곳에서 최장 3380km 떨어진 미국 동부 메릴랜드 지역 주민의 심장·폐 질환 발생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연기에 노출되면 그 영향이 몇 년간 지속된다.

2014년 호주 빅토리아 주 헤이즐우드 탄광 화재로 발생한 연기와 대기오염으로 인해 인근 주민의 심장병 발병률과 호흡기 질환 발병률이 각각 2년 반과 5년 동안 평년보다 더 높게 유지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임신 중 산불 연기 노출은 유산, 미숙아 출산, 조산률과도 연관이 있다.

2022년 학술지 랜싯 플래니터리 헬스(Lancet Planetary Health)에 논문을 발표한 캐나다 연구진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산불이 발생한 곳으로부터 50km 이내에 위치한 도시 주변 거주민은 폐암 위험이 4.9%, 뇌종양 위험이 10% 증가했다.

2018년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을 겪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산불 연기 노출 6~12개월 후 인지 기능과 뇌 활동 변화가 측정됐으며 스트레스와 트라우마 증가와의 연관성도 나타났다.

산청=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불 연기로 인해 초미세먼지(PM2.5)에 오염된 대기를 더 많이 마실수록 치매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해당 연구를 주도한 미국 시애틀 워싱턴 대학교의 조안 케이시 박사는 대기질 지수가 200이 넘는 정말 심각한 산불 연기가 며칠만 발생해도 치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이번 산불 피해가 극심한 경북 안동의 경우 27일 통합 대기질 지수가 300을 훌쩍 넘어 ‘매우 나쁨’을 기록했다.

300 이상은 공기 오염이 극심하여 건강에 큰 위협이 되는 상태로 사람들은 실내에 머물며 외출을 삼가야 한다.

산불 연기 피해 줄이려면?

출입문과 창문을 닫고 실내에 머물러야 한다. 문이나 창문 바닥에 축축한 걸레를 놓아두면 오염된 외부 공기를 막는데 효과가 있다.

전문가들은 어린이, 임신부, 노인,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은 가급적 실내에 머물 것을 권장한다. 이 같은 취약 계측에게 산불 연기는 치명적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방어막은 N95 마스크

비교적 건강한 사람이라도 외출을 해야 한다면 N95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N95 마스크만이 유해한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고 한다. N95 마스크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0.3㎛(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를 의미) 미세입자를 95% 이상 차단할 수 있다. PM 2.5로 불리는 초미세먼지는 2.5㎛이하이다. 따라서 웬만한 초미세 먼지는 막을 수 있다.

천 마스크는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 천 소재 마스크의 필터링 능력을 조사한 결과 오염물질이 천에 달라붙은 상태로 호흡이 이뤄져 해로운 미세 입자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많이 입과 코로 들어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염을 길게 기른 남성은 이를 말끔히 제거하거나 짧게 잘라야 마스크가 얼굴에 단단히 밀착 돼 보호 효과를 볼 수 있다.

박해식 기자 pistols@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