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목표 구현도. 자료=행안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70만 공무원이 사용하는 '온-나라 시스템'을 새롭게 단장한다. 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반영해 공무원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업무 효율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3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지능형 업무관리플랫폼 구축' 사업이 조만간 발주된다.
이 사업은 기존 공무원의 업무관리 시스템 '온-나라 시스템'을 대체하는 웹 기반 업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기획됐다.
현행 온-나라시스템은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297개 기관, 공무원 약 72만명이 사용하는 정부 업무관리 시스템이다. 공무원은 이 시스템을 통해 △일정관리 △과제관리 △전자심의 △회의관리 등 주요 업무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연간 1400만건 가량 정부문서가 관리되고 있다.
정부는 AI·클라우드 신기술 기반으로 시스템을 개편해 이 같은 비효율성을 줄이고 업무 환경을 혁신할 계획이다.
과제 중심 데이터 관리(생산-관리-활용) 체계를 만든다. 과제 중심으로 모든 문서·데이터를 관리해 담당자 변동시에도 자료 유실 없는 문서관리와 인수인계 시스템을 만든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방식으로 민간 업무 효율 도구를 제공한다. AI 서비스, 웹오피스, 소통·협업 도구 등 민간 업무 효율화 도구를 공무원도 사용할 수 있도록 'SaaS 카탈로그' 등을 만든다. 공무원은 카탈로그 내 필요한 민간 SaaS 솔루션을 선택·사용 가능하다.
이미 해외는 AI 등 신기술을 정부 내 적용해 활발히 사용 중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웹 기반 공동 업무처리로 주요 정책 수립 시 업무관련자가 동시에 소통·협업하고 수평적이고 투명한 의사결정 체계와 조직문화도 정착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올해 사업자 선정 후 일부 부처에 적용 후 단계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