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와 KAIST가 지난 2일 KAIST 대전 본원에서 개최한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최 회장은 AI와 제조업을 결합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사진 왼쪽 두번째)이 지난 2일 KAIST 대전 본원에서 개최한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 회장은 “모든 기업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시스템을 제대로 만들어서 제조 경쟁력을 급격히 높이는 프로그램이 없다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지금처럼 트럼프 정부가 관세를 올리고 생산공장을 옮기더라도 백그라운드 기술이 없으면 다른 나라에 나가는 것도 할 수 없다”며 “AI와 제조업을 결합한 경쟁자들이 공장을 만들 것이므로 AI와 제조업 결합 없이 생산기지를 옮기는 것은 장기적으로 전략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 등 기업 대표를 비롯해 이광형 KAIST 총장, 정송 KAIST AI대학원장, KAIST 학생과 청년 예비 창업자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사진 오른쪽 세번째)이 KAIST 출신 청년 AI창업자 및 연구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 회장은 SK의 전략에 대해 “메모리반도체를 확장하는 차원에서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 솔루션들을 만들어 낼 것”이라며 “에너지 계열사의 솔루션까지 포함해 AI 데이터센터를 가장 저렴하게 짓는 것을 목표로 기술을 모으면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얼마나 독보적이냐가 경쟁력이고 그래서 우리가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지금 줄 서서 사야 하는 것”이라며 “SK도 글로벌 전쟁을 하려면 힘들고 상대의 목을 치려면 팔을 내어준다는 각오로 도전하고 쟁취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패널 토론에서는 최태원 회장, 이광형 총장과 함께 KAIST 출신 청년 AI 창업자와 연구자들이 국내 AI 산업의 비전과 발전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왼쪽 네번째)이 주요참석자들과 기념촬영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