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3월 넷째주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
서울 아파트 주간 매매지수 상승률 0.25→0.11%
송파 1년1개월만 하락···강남·서초·용산도 반토막
강남3구·용산구 토허구역 지정에 관망 심리 확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와 용산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1주일 만에 서울 아파트 상승률이 반 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토허구역 지정 해제 후 집값 급등 현상을 기록한 송파구의 경우 1년여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정부와 서울시가 시장 상황에 따라 토허구역 추가 지정을 경고한 만큼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넷째 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1% 상승했다. 상승세를 이어가고는 있지만 1주일 전(0.25%)과 비교하면 상승 폭이 절반 넘게 줄었다.
이달 24일부터 강남 3구와 용산구가 토허구역으로 재지정되고 전세를 안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금지되면서 주요 지역의 상승세가 둔화됐다. 강남구의 상승 폭은 지난주 0.83%에서 이번 주 0.36%로 대폭 하락했고 서초구 역시 0.69%에서 0.28%로 떨어졌다.
용산구도 0.18% 올랐지만 전주(0.34%)에 비하면 상승 폭이 반 토막 났다. 마포(0.29%→0.21%)와 △성동(0.37%→0.35%) △동작(0.20%→0.17%) △광진(0.25%→0.15%) △영등포구(0.21%→0.10%) 등 한강변에 위치한 자치구들도 하락을 면치 못했다.
정부와 서울시가 토허구역 추가 지정 가능성을 암시한 만큼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부동산원의 한 관계자는 “재건축 등 일부 선호 단지에선 상승 거래가 체결되고 있지만 국지적인 급매 수요와 관망 심리 확대로 상승 폭이 지난주보다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경기는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도 보합(0.00%)을 기록한 가운데 인천은 0.07% 내리며 하락폭을 확대했다. 최근 급등세를 보인 과천의 경우 0.55%를 기록했다. 과천 상승률은 3월 둘째주(0.71%)를 정점으로 하향세를 보였지만 서울 주요 지역의 상승 폭을 웃돌고 있다.
수도권 전체 가격 상승률은 지난주보다 0.04%포인트 줄어든 0.03%로 집계됐다. 지방은 0.04% 떨어지며 전주와 같은 하락 폭을 나타냈다. 5대 광역시(-0.05%→-0.06%)와 8개도(-0.02%→0.03% ) 모두 하락 폭이 확대됐다.
토허구역 확대 지정으로 서울 전세값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올해 입주 물량이 줄줄이 대기 중이어서 당장 큰 혼란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1월부터 동대문구 이문동에서 래미안 라그란데(3069가구) 입주가 진행 중이고 조만간 성북구 장위동에서 장위자이레디언트(2840가구) 입주가 시작된다. 6월 동대문구 휘경동에서 휘경자이 디센시아(1806가구), 11월 이문동에서 이문아이파크자이(4321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또 다른 관계자는 “역세권과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계약 체결이 지속되고 있다”며 “하지만 일부 입주 영향이 있는 지역과 구축 단지에서 전세가격이 하락하면서 서울 전체에서는 상승 폭이 소폭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김창영 기자 kcy@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