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제7차 전원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국가인권기구연합(GANHRI·간리)이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에 대한 특별심사에 착수했다. 26일 간리가 인권위에 보낸 ‘특별심사 개시 결정문’에는 계엄령 선포와 관련된 인권 침해에 대한 인권위의 대응 자료 요청이 담겼다.
27일 서울 중구 인권위에서 열린 8차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남규선 상임위원은 이런 내용을 언급했다. 남 위원은 “단순히 인권위의 위상이 떨어진 게 아니라 국격이 낮아진 것”이라면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것이 사명인 인권위가 국제 사회의 우려를 받는 조직이 됐다”고 비판했다.
지난 26일 간리 승인소위(SCA) 사무국은 인권위에 보낸 문서에서 “인권위의 등급을 재차 검토하는 특별심사 개시를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10월 국내 204개 인권시민단체가 “인권위가 퇴행하고 있다”며 간리에 특별심사를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간리는 국가인권기구의 등급을 심사하는 국제기구다. 인권위는 지난 2004년 국제기구 가입 이후 줄곧 A등급을 유지해왔다. 특별심사는 오는 10월부터 시작될 전망이다. 결과에 따라 등급이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남규선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지난 2월 11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의결‘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남 위원에 따르면, 간리는 ‘계엄령 선포와 관련된 인권 침해’에 대해 인권위가 어떻게 대응했는지에 관한 자료를 요청했다고 한다. 또 김용원 상임위원이 2023년 10월 인권위에 항의하는 군 사망자 유가족 및 인권활동가들을 경찰에 수사 의뢰한 것, 이 소송으로 인해 인권위와 시민단체 간 업무 관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고 한다.
국가인권위 바로잡기공동행동은 이날 성명을 내고 “한국 인권시민사회의 요구를 받아들여 간리가 특별심사 개시를 결정한 것을 환영하면서도, 시민들의 노력으로 설립한 인권위의 부끄러운 현주소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안타까운 심정이다”라면서 “인권위는 이번 특별심사가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성실하게 심사에 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아미 기자 lee.ahmi@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