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통들에 따르면 회동 참석자 명단에는 독일 자동차 업체 BMW와 메르세데스-벤츠, 미국 반도체 업체 퀄컴 CEO가 포함돼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대외개방 의지를 직접 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부동산 위기와 투자·소비심리 약화, 외국인 직접 투자 감소 등을 겪고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무역 전쟁에도 직면했다. 외국 기업과의 관계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앞서 지난 23~24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국발전포럼(CDF)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외자기업이 중국 시장에 깊이 융합하는 것을 도울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포럼 기간 애플, 화이자, 마스터카드 등 임원들이 중국 상무부 당국자들과 회동하기도 했다. 팀 쿡 애플 CEO는 '중국 경제 실세'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 왕원타오 상무부 장관 등과 만났다.
시 주석은 지난해에도 CDF 이틀 뒤 포럼에 참석했던 미국 기업 CEO들 및 학계 인사들과 만났다. 당시 시 주석은 "미국을 포함한 각국 기업에 더 넓은 발전 공간(기회)을 제공할 것"이라며 직접 투자 유치에 나섰다.
중국 지도부가 글로벌 기업과 직접 소통에 나서는 배경에는 외국인직접투자(FDI) 급락이 있다. 지난해 중국의 FDI는 전년 대비 27.1% 감소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의 하락이다. 여기에 최근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며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을 다각화하고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중국 밖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고 있다. 중국 경기 둔화와 컨설팅 및 조사 기관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도 외국 기업 경영진들의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 출장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시 주석과의 회동에 참석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2년 만에 CDF에 참석한 이 회장은 샤오미 전기차 공장과 BYD 본사를 방문하는 등 중국에서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사업 확대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