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은 27일 “시황 악화로 인천공장에서 봉강(철근) 생산을 한시적으로 감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인천공장은 연간 150만t의 철근을 생산하는데, 현대제철의 전체 철근 생산능력(330만~340만t)의 45%를 차지한다. 현대제철은 시장 공급 과잉이 완화할 때까지 감산 조치를 유지할 계획이다.
이번 감산 조치는 건설경기 침체와 중국산 저가 공세에 따른 것이다. 2023년 이후 건설 수주가 계속 줄고 부동산 시장 침체가 길어지면서 철근 수요도 쪼그라들었다. 인천공장은 주로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봉강 제품을 생산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철강 관세도 악재로 작용했다.
실제 현대제철의 봉형강(기초 철강 소재) 생산량은 하락세다. 현대제철 사업보고서를 보면 2022년 684만 3000t이던 봉형강 생산량은 지난해 577만 4000t으로 2년 만에 15.6% 줄었다. 현대제철의 지난해 공장 가동률도 82.8%에 그쳤다.
손지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