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북 의성 산불이 일주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거센 강풍을 타고 무차별 확산하며 역대급 피해를 낳았는데요, 산불이 시작된 의성과 안동 지역의 진화율이 크게 오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경인 기자.
[기자]
네, 경북 의성 산불 현장지휘본부에 나와 있습니다.
의성에는 밤사이 빗줄기가 한 차례 더 지나갔는데요, 내린 양은 그리 많지 않지만 진화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산림당국에 따르면 오늘 아침 기준 의성 지역의 진화율은 95%까지 올랐습니다.
의성은 이번 산불이 처음 시작된 곳인데요, 어제 오후까지만 해도 62% 수준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하지만 밤사이가 빗줄기가 지나가면서 진화에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당국은 의성과 인접한 안동 지역의 진화도 상당 진척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당국은 오늘도 일출과 동시에 헬기와 장비 등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의성 산불은 역대 최악의 피해를 낳고 있습니다.
청송에서 실종됐던 80대 여성이 어제 숨진 채 발견됐는데요, 경북 산불 희생자는 주민과 산불진화대원, 헬기 조종사까지 모두 24명으로 늘었습니다.
또 21명이 중경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북 5개 시군에서 3만 500여명이 대피했다가, 아직도 6,450명이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산불 발생 일주일째를 맞은 경북 북동산지와 동해안에는 5㎜ 안팎의 비가 예보돼 있습니다.
다만, 오늘부터는 차고 건조한 북서풍이 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그동안 서풍을 타고 동진하던 산불이 이제는 북서풍을 타고 남쪽으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의성 산불 현장지휘본부에서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현장연결 : 이승안]
#경북 #의성 #산불 #영덕 #안동 #사망 #대피 #이재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경인(kikim@yna.co.kr)
경북 의성 산불이 일주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거센 강풍을 타고 무차별 확산하며 역대급 피해를 낳았는데요, 산불이 시작된 의성과 안동 지역의 진화율이 크게 오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경인 기자.
[기자]
의성에는 밤사이 빗줄기가 한 차례 더 지나갔는데요, 내린 양은 그리 많지 않지만 진화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산림당국에 따르면 오늘 아침 기준 의성 지역의 진화율은 95%까지 올랐습니다.
의성은 이번 산불이 처음 시작된 곳인데요, 어제 오후까지만 해도 62% 수준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당국은 의성과 인접한 안동 지역의 진화도 상당 진척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당국은 오늘도 일출과 동시에 헬기와 장비 등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의성 산불은 역대 최악의 피해를 낳고 있습니다.
또 21명이 중경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북 5개 시군에서 3만 500여명이 대피했다가, 아직도 6,450명이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산불 발생 일주일째를 맞은 경북 북동산지와 동해안에는 5㎜ 안팎의 비가 예보돼 있습니다.
그동안 서풍을 타고 동진하던 산불이 이제는 북서풍을 타고 남쪽으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의성 산불 현장지휘본부에서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현장연결 : 이승안]
#경북 #의성 #산불 #영덕 #안동 #사망 #대피 #이재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경인(kikim@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