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앞 회견·릴레이 시위 중단
李무죄·尹탄핵 선고 지연 영향
농성 등 여론전 확대 전략 수정
27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더불어민주당 국회 정무위, 기재위 소속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신속파면 촉구 기자회견을 하는 가운데 유상범(왼쪽부터) 국민의힘 의원, 박종진 인천 서구 을 당협위원장, 송언석 의원이 탄핵 기각·각하 촉구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기각 및 각하를 촉구하는 국민의힘 ‘반탄파’ 의원들이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당장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산불 재난 피해를 수습해야 한다는 명분을 들지만, 이면에는 탄핵심판 선고 지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판결 등으로 탄핵 기각 및 각하에 대한 기대감과 불안감이 동시에 커지는 분위기가 반영된 영향이 크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28일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여는 대신 산불 피해가 집중된 경북 안동 지역으로 향했다. 산불 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이재민 대피소, 순직 진화대원의 빈소를 방문하는 일정이다. 국민의힘은 전날(27일) 예정됐던 본회의 일정 연기를 요청하기도 했다. 경북 의성과 안동, 울산광역시와 울주군, 산청군 등 국민의힘 의원들의 지역구에 산불 피해가 집중된 만큼 대부분 의원도 일찌감치 지역구에 내려가 산불 피해 수습에 주력하는 상황이다.
이에 국민의힘 의원 중 절반 이상이 몰두하던 헌법재판소 앞 탄핵 기각 및 각하 촉구도 소강 국면을 맞았다. 국민의힘 반탄파 의원들은 지난 26일 헌법재판소 앞 기자회견을 잠정 중단한 데 이어 ‘24시간 릴레이 시위’에서 0~7시 심야 시간대 시위도 일시 중단했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 지정이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동력을 잃었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변론 종결 이후 2~3주 금요일 선고가 났던 지난 대통령 탄핵심판 선례에 비춰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도 이르면 지난 14일부터 반탄파 의원들은 총력전을 벌여왔다. 헌재 앞에 나서는 반탄파의 한 초선 의원은 “산불 재난 등 여파로 헌재 앞에 모이는 의원들의 숫자가 적어졌다”며 “헌재 앞이 경찰버스 차 벽에 다 막혀있어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의 항소심 무죄 판결의 영향도 크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 “동이 대표가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민주당 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 면이 있다”며 “주말 사이 산불 진화 상황 등을 보며 보수 지지층에 결기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탄핵심판 선고 지연이 장기화하면서 들끓던 반탄 여론이 한풀 꺾였다는 시각도 있다. 반탄파 초선 의원은 “이 대표 무죄 판결과 헌법재판관 임기 등을 감안하더라도 국민도 진이 빠지는 상황”이라며 “인제 그만 끝냈으면 좋겠다고 얘기하시는 분도 있다”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