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외교 구상으로 서방 배제 노골화
젤렌스키엔 “합법지도자만 협상 가능"
유럽 패싱한 트럼프엔 우호적 발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정국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다자외교 구상을 본격화하고 나섰다. 그는 미국의 중재에만 기대지 않겠다며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브릭스(BRICS) 국가들과의 협력을 언급하는 동시에, 북한과의 군사기술 협력이 진행 중임을 공개했다.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의 판에서 서방의 참여를 더욱 더 강하게 배제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푸틴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러시아 무르만스크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는 이 문제(우크라이나 전쟁)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움직임을 환영하며, 미국만이 아니라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공을 포함한 모든 브릭스 국가들과도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 역시 우리의 파트너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특히 북한과의 협력에 대해선 구체적인 진전을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체결한 북러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제4조를 언급하며 “현재 북한과 군사 및 군사기술 부문에서의 협력이 실제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제4조는 쌍방이 외부의 무력침공을 받을 경우 모든 수단으로 상호 군사 지원을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앞서 러시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준비 중이라고 밝히는 등 북러 밀착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외연 확장에 나선 푸틴은 내부적으로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정통성에 직접적인 문제를 제기하며 ‘임시정부 카드’를 꺼내 들었다. 그는 27일 아르한겔스크 핵잠수함 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크라이나에 유엔 감독 아래 임시 정부를 구성하고, 여러 국가들이 파견돼 선거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임시정부는 가능한 하나의 선택지일 뿐이며, 러시아는 평화적 해결을 선호하지만 그 대가를 일방적으로 치를 생각은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에너지 시설에 대한 30일 휴전과 흑해 해상 휴전을 합의했지만, 실질적인 충돌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러시아는 농산물 수출과 관련한 대러 제재 해제를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고 있고,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에너지 인프라를 공격하고 있다며 합의를 무력화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 크렘린궁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측의 합의 위반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휴전 의무를 성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와의 긍정적인 외교 관여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주장했다.
전황에 대해서도 푸틴은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전선 전역에서 러시아군이 전략적 주도권을 갖고 있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끈기 있게 전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변수연 기자 diver@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