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관세가 현실화하면서 일본 정부, 여당은 경제 전반에 미칠 파장을 분석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폭주라고 강도 높은 비난을 일제히 쏟아냈습니다.
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시바 총리는 미국의 수입차 관세 강행이 미국에도 손해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 일본 총리 : 일본에 대한 이러한 고관세는 결코 미국에도 이익이 되지 않는 것을 어떻게 이해시킬 것인가, 이를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생각하겠습니다.]
다만 미국과 다투는 대신 협의에 집중하겠다며, 즉각적인 대응조치에는 거리를 두는 모습입니다.
일본은 협의 과정에서 미국 측이 불만을 품는 안전기준 등 '비관세 장벽' 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집권 자민당도 당내 관세대책 협의체를 설치하기로 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강행에 일본 언론들은 불합리한 조치이자, 미국의 폭주라고 거세게 비난했습니다.
또 관세 여파로 일본 차의 수출이 완전히 막히면 최대 13조엔, 우리 돈 126조 원의 경제가치가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불만을 표시하는 비관세 장벽에 대해서도 정량화가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니이나미 다케시 / 경제 동우회 대표 : 유럽의 자동차는 일본에서 팔리고 있습니다. 마케팅 등 일본에 맞는 상품 설계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 자동차 업계들은 비용 절감도 검토하고 있지만, 자동차 부품도 관세에 포함돼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 정부 역시 비관세 장벽을 완화하면, 자국민 안전을 외면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어, 미국과의 추후 교섭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
YTN 김세호 (se-3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미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관세가 현실화하면서 일본 정부, 여당은 경제 전반에 미칠 파장을 분석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폭주라고 강도 높은 비난을 일제히 쏟아냈습니다.
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시바 총리는 미국의 수입차 관세 강행이 미국에도 손해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 일본 총리 : 일본에 대한 이러한 고관세는 결코 미국에도 이익이 되지 않는 것을 어떻게 이해시킬 것인가, 이를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생각하겠습니다.]
다만 미국과 다투는 대신 협의에 집중하겠다며, 즉각적인 대응조치에는 거리를 두는 모습입니다.
집권 자민당도 당내 관세대책 협의체를 설치하기로 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강행에 일본 언론들은 불합리한 조치이자, 미국의 폭주라고 거세게 비난했습니다.
또 관세 여파로 일본 차의 수출이 완전히 막히면 최대 13조엔, 우리 돈 126조 원의 경제가치가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니이나미 다케시 / 경제 동우회 대표 : 유럽의 자동차는 일본에서 팔리고 있습니다. 마케팅 등 일본에 맞는 상품 설계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 자동차 업계들은 비용 절감도 검토하고 있지만, 자동차 부품도 관세에 포함돼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 정부 역시 비관세 장벽을 완화하면, 자국민 안전을 외면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어, 미국과의 추후 교섭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YTN 김세호 (se-3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