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주가 이틀 연속 급락 마감
대미 투자에도 관세 부과에 흔들
일각에선 가격 인상 기대감 전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현대차(005380)의 주가가 급락했다. 특히 최근 대규모 북미 투자 계획을 밝히며 상승세를 나타냈던 만큼 이번 타격이 더욱 뼈아픈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모든 수입차에 관세를 부과한다면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수혜를 볼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마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제동을 걸면서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대차는 전날 3.53% 하락한 20만 5000원에 장을 마쳤다. 전 거래일에도 4% 넘게 주가가 내린 현대차는 이틀 연속으로 내리막을 걸었다. 이달 24일(현지 시간) 미국에 총 210억 달러(약 31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후 주가가 상승 기류를 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차 관세 부과 발표에 속절없이 무너져 내렸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힌 날이 현대차의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이 열렸다는 점도 공교로운 상황이다.
미국의 수입차 관세 부과로 현대차는 단기적인 악영향을 면치 못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현대차를 비롯해 기아(000270)의 영업이익이 각각 3조 4000억 원, 2조 3000억 원 가량 감소할 수도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게다가 자동차는 한국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만큼 개별 기업을 떠나 전반적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박에 없다.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 4400만 달러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707억 8900만 달러)의 절반에 육박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국이 모든 수입차에 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에 자동차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관세 부과가 미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진다는 판단에서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수입차 관세 부과는 국내 자동차 및 부품주 주가에 부정적”이라면서도 “단 예상을 깨고 모든 수입차에 대해 관세를 부과해 관세의 부담이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짚었다. 미국 현지화 기업이라면 관세 부담보다 가격 상승의 반사이익이 더 클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박정현 기자 kat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