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무비자·가성비에 수요 ‘쑥’…中·日 하늘길 13개 늘었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2월 1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활주로에 양사 항공기가 오가고 있다. 뉴시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국적 항공사들이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파이낸셜뉴스] 국적 항공사들이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3월 30일~10월 25일)을 맞아 중국과 일본 노선 운항을 늘린다.

30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계 기간 항공사들이 국내 공항에서 운항하는 중국·일본 노선은 128개로, 지난해 115개보다 13개 늘었다.

현재 여객편을 운항하는 10개 항공사 중 장거리 노선 중심인 에어프레미아를 제외한 모든 항공사가 중국 또는 일본 노선을 증편하거나 신규 취항한다.

일본 오사카 도톤보리 식당가. 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말 취항한 인천~푸저우 노선을 기존 주 3회에서 4회로 1회 확대한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올해 하계 기간 중국 노선에서 주당 195회를 운항, 지난 2019년 수준의 약 90%를 회복했다. 일본 노선은 내달 18일 인천~고베 노선에 신규 취항해 주 2회 운항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날부터 인천발 충칭, 청두 노선에 취항해 주 7회(매일) 항공편을 띄운다. 인천∼다롄 노선은 주 7회에서 10회로 늘리고, 인천∼옌지 노선은 주 5회에서 7회로 운항을 확대했다가 내달 28일부터는 8회로 늘린다. 인천∼창춘은 주 4회에서 9회로, 인천∼창사는 주 4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제주항공은 중국 하늘길 중 제주발 시안, 홍콩 노선에서 주 2회로 운항을 재개한다. 인천발 오사카 노선은 지난해 하계 스케줄 기간 주 22∼27회 운항하다가 올해 28회로 늘렸고, 인천발 마쓰야마 노선은 주 7회 운항하던 것을 주 14회로 2배 늘렸다.

티웨이항공은 내달 21일과 22일 중국 옌지로 향하는 청주발, 대구발 주 3회 노선에 각각 취항한다. 5월 22일부터는 인천발 우한 노선에도 주 3회 항공편을 띄운다.

진에어는 내달 3일 인천발 일본 이시가키지마에 주 5회 일정으로 단독 취항한다. 부산∼나고야, 후쿠오카도 주 7회 운항을 재개한다.

에어부산은 부산발 중국 옌지 노선을 주 3회에서 6회로 증편하고, 장자제 노선은 주 4회에서 6회로 확대한다. 부산∼시안 노선은 주 2회 재운항한다.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동계 시즌 운항하지 않았던 제주∼상하이(주 7회), 청주∼장자제(주 4회) 노선에서 다시 운항한다.

에어로케이는 청주발 중국 쿤밍·청두·황산, 오르도스 등 노선과 일본 이바라키, 오비히로, 기타큐슈, 시즈오카 등 소도시 노선 등에 항공편을 띄운다. 인천에서는 대도시인 도쿄·오사카 중심으로 운항한다.

에어서울은 오는 31일 인천발 요나고행 단독 노선을 주 3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중국 경제 중심 도시 상하이. 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항공업계에서는 올해 하계 기간에도 물가와 환율 부담이 비교적 낮은 중국과 일본의 인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국제선 승객 출발·도착지 중 일본(2514만명)은 28.3%를, 중국(1377만명)은 15.5%를 차지하며 개별 국가 1, 2위를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작년 말 한국인 무비자 정책 시행 이후 가성비 여행 상품이 대거 나오면서 여행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은 엔 환율이 오르는 추세지만 소도시 여행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고, 단거리는 상대적으로 환율 영향에 둔감해 수요가 크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