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전남도, 산불방지 특별본부 격상…"도지사가 직접 챙긴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농부산물 수거해 시·군서 파쇄·산중 외딴곳 드론 예찰

5개 대형 사찰 직접 관리·현장지원 담당관 운영 등 지시

[장성=뉴시스] 송창헌 기자 = 김영록 전남지사가 29일 장성군 북하면 명치마을을 방문, 산불 비상 상황 발생 시 체계적인 대응 태세 구축을 당부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제공) 2025.03.2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괴물 산불'이 영남 곳곳을 삼킨 가운데 전남도가 대형 산불 예방을 위해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한 산불방지 특별대책본부를 본격 가동했다.

전남도는 29일 청명과 한식, 식목일이 낀 4월초가 산불 위험도가 가장 높은 시기라고 판단, 산불방지 특별대책본부를 기존 환경산림국장(3급)에서 도지사로 격상하는 등 대응 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주무부서인 산림국 중심으로 일선 시·군과 연계 대응해오던 산불예방대책본부를 특별대책본부로 전환하고, 도지사가 직접 챙긴다는 취지다.

김 지사는 이날 산불취약지인 장성 북하면 명치마을과 담양 금성면 원율리마을을 차례로 방문해 예방활동 현장을 살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산중 외딴 가옥과 산림연접지 마을의 산불 원인 최소화를 위해 영농부산물을 미리 수거하고, 산불 감시 사각지대는 드론 예찰을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영농부산물은 마을 단위로 장소를 지정해 수거하고 시·군에서 직접 파쇄해 산불 원인을 사전에 차단할 것을 특별 지시했다.

국가유산을 보유한 도내 사찰 106곳에 대해선 산불 재난 대응 특별점검을 지시했다. 특히, 대형 사찰인 순천 송광사와 선암사, 구례 화엄사, 장성 백양사, 해남 대흥사 등 5곳에 대해서는 2중, 3중 방화선을 구축하는 등 도에서 직접 관리키로 했다.

또 도와 일선 시·군 실·국장을 현장지원담당관으로 지정하고, 산불위험이 해소될 때까지 직원 4분의 1을 투입해 현장예찰을 강화하고 산림 인접지 쓰레기·영농부산물·논밭두렁 소각 등 불법 소각행위를 특별단속토록 했다.

김 지사는 "단 한명이라도 희생되지 않도록 직접 챙기겠다"며 "사소한 부주의가 위험한 만큼 논·밭두렁이나 영농부산물 소각 금지, 산림 주변 금연, 입산 통제 구역이나 폐쇄된 등산로 출입 자제에 철저한 지도·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