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셀트리온, 급성장에 경영진 연봉 나란히 상위권
적자 지씨셀 제임스박은 롯바로 이적⋯SK바사도 고액연봉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장 기준 제약·바이오 기업 최고경영자(CEO) 중에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인물은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로 나타났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사장. [사진=아이뉴스24 포토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존림 대표가 받은 보수 총액은 79억1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9.4% 증가했다. 이중 상여만 63억원3000만원에 달했다. 이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글로벌 제약사와의 대규모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데 따른 성과로 분석된다.
삼성그룹은 임직원의 성과를 3년 단위로 평가해 지급하는 '장기 성과 인센티브(LTI)'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존림 대표는 2020년 12월 취임 이후 '초격차 전략'을 내세우며 매년 실적을 경신해 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9년까지만 해도 고객사가 3곳에 불과했으나, 현재 17곳으로 늘어났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난해 매출은 4조5473억원으로, 2020년 매출(2070억원) 대비 약 22배 증가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사진=아이뉴스24 포토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위는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다. 서 회장은 지난해 셀트리온에서 43억7700만원 보수를 받았다. 세부적으로 급여 15억1900만원, 상여 4억원, 성과보수 24억5630만원, 기타 근로소득 200만원 등이다. 전년(12억2500만원) 대비 257.3% 증가했다. 지난해 셀트리온의 매출은 3조5573억원으로 창사 이래 역대 최대를 달성했다. 이는 전년보다 63.45% 성장한 수치이며, 셀트리온의 올해 목표는 매출 5조원이다.
3위는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고문이다. 그는 성과보수 25억원을 포함해 총 33억6700만원을 수령했다. 김 고문은 2011년 삼성바이오로직스 출범과 함께 초대 대표이사를 맡아 약 9년간 회사를 이끌어왔다.
GC녹십자그룹의 세포유전자치료제 계열사 지씨셀은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영업손실(약 200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고, 매출도 전년 대비 7% 감소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11월까지 근무한 제임스 박 전 대표에게는 16억원 상당 보수가 지급됐다.
세부적으로 급여 8억600만원, 상여 3억800만원, 기타 근로소득 4000만원, 퇴직금 4억3900만 원 등이 포함됐다. 그는 선임 2년여 만에 지씨셀을 떠나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로 자리를 옮겼다. 재직 기간 중 지씨셀 주가는 4만원대 후반에서 2만원대 중반으로 하락했다.
제임스 박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업계 관계자는 "성과나 상여는 경영성과에 연동돼야 하는데, 일부 기업은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경영진 보수가 과도하게 책정되고 있다"며 "주주 신뢰를 위해 보수 체계의 투명성과 합리성 확보와 주주환원책이나 주가부양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승필 기자(pilihp@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