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4곳 돌아보니 담배 피우는 사람·곳곳에 꽁초도
영남권 산불 원인도 ‘실화’인데…안전불감증 여전
계도 정책 마련 돼 있지만 “이행 잘 안 되는 것” 지적
전문가들 “예방하면 성과 있어…적극적 조치가 답”
지난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까치산 입구 부근에서 한 남성이 손에 불을 붙인 담배를 태우며 내려가고 있다. (사진=김형환 기자) |
지난 29일 이데일리가 서울 지역의 산 4곳을 둘러본 결과 곳곳에서 담배꽁초 등 흡연 흔적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규모가 작은 동네 뒷산은 물론 비교적 관리가 잘되는 대형 산에서도 화재 위험을 엿볼 수 있었다.
이날 오후 찾은 강서구 까치산과 성북구 개운산 입구부터 나뭇잎 더미 위에 놓인 담배꽁초 더미가 눈에 띄었다. 두 산은 비교적 평탄해 동네 주민들이 가볍게 많이 찾는 산길이다.
등산로 곳곳에는 ‘금연’ ‘화기 금지’가 적힌 현수막이 붙어 있었지만 무색한 모습이었다. 까치산 등산로에서는 아예 담배를 태우며 하산하는 사람도 목격됐다. 이곳에서 만난 박성준(33)씨는 “집 앞이라 배드민턴 치러 가끔 찾는 곳인데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이 있어 놀랐다”며 “뉴스도 안 보고 사나 싶더라”고 말했다.
관리가 비교적 잘 되는 대형 산에는 소화기가 배치돼 있기도 했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입구부터 담배꽁초가 보이는 등 흡연 흔적이 남아 있었다. 이날 오전 관악구 관악산 입구에선 3m 반경에서 꽁초만 5개가 발견됐다. 심지어 종로구 인왕산 산 정상 부근에서 꽁초 2개가 보이기도 했다. 일주일에 2번 이상 산에 오른다는 박현근(68)씨는 “꼭 위험하게 담배 태우는 사람들이 있다”며 “요즘은 인식이 바뀌었어도 어딘가에서 담배 냄새가 난다”고 했다.
지난 29일 이데일리가 찾은 서울 성북구 개운산(왼쪽)과 관악구 관악산 입구 부근에는 담배꽁초가 버려져 있다. (사진=정윤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래픽=김일환 기자) |
법적으로 국립공원 등에서 흡연하거나 인화물질을 소유하면 과태료를 내야 한다. 산불을 실수로 내도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영남권 산불도 대부분 실화로 발생했다. 경북 의성 산불은 성묘객 실화, 경남 산청 산불은 예초기 불씨, 울산 울주 산불은 용접 작업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산불을 막기 위한 행정 조치가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짚었다. 고기연 한국산불협회장은 “산에서 담배를 피우고 하는 건 사실 화기 반입인데 그걸 막는 계도가 잘 안 되고 있는 것”이라며 “봄철 산불 위험시기에 등산로 폐쇄 구역도 설정하고 화기 반입이나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을 계도하고 처벌하는 정책은 마련돼 있지만 지자체에서 이행이 잘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예방이 최선인 만큼 적극적으로 계도만 된다면 성과가 있다고도 했다. 고 회장은 “시군구 공무원이 배치돼 계도하고 예방하는 활동은 성과가 분명히 있는데 이행이 안 됐을 때 산불이 나면 뒤늦게 대응하기 벅찰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까치산 등산로 옆으로 ‘소각 산불 조심’이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려 있다. (사진=김형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