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에도 복귀할까, 여전히 강경한 의대생도
'등록 휴학' 불인정...미복귀 시 동결안은 '원점'
경희대 의대가 30일 2025학년도 1학기 등록을 마감한다. 당초 경희대 의대는 28일까지 등록을 마감하기로 했으나 기한을 연장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의과대학.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정한 의과대학생 복귀 마감 시한은 31일이다. 서울대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로 돌아선 뒤 대부분 의대의 신입·재학생 전원 등록이 실현되는 가운데, 의대생들이 실제 수업에도 참여할지가 의대 정상화의 남은 관건이다. 교육부는 의대생들이 수업을 듣고 학점을 이수하는 것까지를 '복귀'로 보는 만큼, 수업 거부가 이어질 경우 정부가 약속한 내년도 모집인원 동결은 없던 일이 된다.
교육부, 31일 이후 '전원 복귀' 여부 판단
30일 교육부에 따르면, 정부는 등록 시한인 31일 자정 직후 전국 의대생 복귀 현황을 취합할 예정이다. 다만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 전원 복귀 판단 여부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동결 여부에 대한 발표 일정은 내부 검토를 더 거쳐야 한다"고 전했다.
교육부는 이달까지 의대생 전원이 복귀한다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단 학생이 실제 학교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동결 방안을 철회할 방침이다.
앞서 서울대·울산대 의대생이 전원 등록한 사실이 확인됐고, 가톨릭대·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 등 이른바 '빅5' 의대생들도 사실상 전원 복귀를 결정했다. 등록 시한이 남은 다른 의대들도 이에 영향을 받아 대다수가 복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희대·충북대는 30일까지,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가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 등은 31일까지 등록을 마쳐야 한다.
수업 복귀 주목...서울대 의대는 온라인 수업부터
27일 서울대 의대 강의실이 적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등록한 의대생들이 수강신청에 응한 규모는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한 사립대 의대 관계자는 "의대는 학사 일정이 다 짜여져 있다는 특성상 수강신청 여부보다는 등록 여부가 (정상적인 수업의)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학생 전원이 등록한 학교는 정상 수업이 이뤄질 여지가 크다는 뜻이다.
실제로 수업 복귀 의사를 밝힌 학생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사립대 의대 관계자는 "교수들과의 면담 결과, 수업을 열심히 듣겠다고 말한 학생들도 다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며 "학장 등이 학생들에게 수업을 들을 것을 독려하는 과정에서 이런 분위기도 함께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만 의대생들이 등록 후 휴학 혹은 수업 거부로 집단행동을 이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부 의대생 학생회나 태스크포스(TF) 등 투쟁 의지가 강경한 학생들을 중심으로는 등록 후에도 수업 거부를 지속하겠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의대생의 등록 휴학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면서도 "학생들이 수업에 복귀하지 않을 가능성은 가정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최은서 기자 silver@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