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부터 양곤에 거주하며 무역 컨설팅 업체를 운영해온 전창준씨는 “미얀마에 거주하며 이렇게 긴 시간, 강한 지진이 일어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당시 시내 2층 건물에서 밥을 먹고 있던 전씨는 강한 지진이 1분 넘게 이어지자 건물 밖으로 뛰쳐나왔다. 그는 “다들 놀라 주변에 전화를 걸었는데, 통신도 일시적으로 끊겼다”며 “아들이 다니던 학교에서도 곧바로 아이들을 집으로 돌려보냈다”고 했다.
미얀마에선 2018년과 2022년에도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 강진으로 이곳 주민들의 불안감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진 발생 지역이 미얀마 북쪽에서 양곤이 위치한 남쪽으로 점점 옮겨오고 있기 때문이다. 여진 공포도 크다. 특히 양곤 시내 건물 대부분은 영국 식민지 시절에 지어져 노후한 건물이 많아 붕괴 위험도 크다고 한다.
전씨는 “쿠데타 전에 5000명까지 달했던 교민들이 코로나19를 겪고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안 그래도 매년 8월이면 태풍 피해가 큰데 이번엔 지진까지 터지면서 미얀마 경기가 침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고 전했다.
차준홍 기자 |
불안감 속에서도 교민사회는 피해를 본 미얀마인들을 돕기 위한 구호활동을 시작했다. 양곤에서 한국어교육센터를 운영하는 김형원(42)씨는 30일 새벽 5시 승합차에 생수 40박스와 각종 항생제 및 소독제 등을 싣고 만달레이로 향했다. 한국에 두 딸을 두고 온 그는 “직원이 건물 잔해 속에 깔려 있는 아이 사진을 보여주는데 마음이 울컥하더라”며 “미얀마가 잘됐으면 하는 마음에, 또 마침 많은 분이 후원해 주셔서 물품을 싣고 가게 됐다”고 말했다. 만달레이로 가는 고속도로 일부가 지진으로 파괴돼 일부 구간은 국도를 이용해 10시간 넘게 이동 중이다.
태국 방콕에서도 17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질학자 제스 피닉스는 CNN에 “이런 지진이 방출하는 힘은 약 334개의 원자폭탄과 같다”고 말했다. 미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 명 이상일 가능성을 71%, 10만 명 이상일 가능성도 36%나 된다고 예측했다.
양곤=위문희 기자, 이승호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