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된 4월2일 상호관세 발표 앞두고 "알려진 것보다 광범위하고 높은 관세 나올 것" 보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워싱턴으로 돌아가는 에어포스원 전용기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3.30 /로이터=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음달 2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참모들이 더 많은 국가를 대상으로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행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이 무역 적자를 보는 모든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크고 단순한(big and simple)' 형태가 되기를 원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더티 15(미국에 무역 흑자를 많이 내는 15%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언급했는데, 더 광범위한 국가에 대해 더 높은 세율의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고 WSJ은 분석했다.
특히 WSJ은 "최근엔 상호 관세 대신 아예 모든 무역 상대국에 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참모들 사이에서 다시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참모진 내 관세 강경파들은 자동차 관세로만 연간 1000억 달러(약 147조원), 다른 관세로는 연간 6000억 달러를 세수로 얻어낼 것이라는 주장으로 뒷받침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날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몇 개 국가가 상호관세 영향을 받게 되느냐'는 질문에 "얼마나 많은 국가가 될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우리는 약 15개 국가와 엄청나게 큰 무역적자가 있다. 그렇다고 전 세계에 다른 불공정 무역 관행이 많지 않다는 뜻은 아니며, 2일이 되면 우리가 하는 무역 조치의 상호주의적인 부분이 모두에게 명백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하늬 기자 honey@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