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목)

[단독]의대 40곳중 19곳 거의 전원 복귀…수업 참여는 저조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각 대학 의대생들이 복귀 마감 시한에 임박해 속속 복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31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2025.3.31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교육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았던 마지막 날인 31일 오후 5시반까지 19곳이 거의 전원 복귀했다. 빅5 의대(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울산대)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아주대 을지대 이화여대 조선대 중앙대 차의과대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 충남대 충북대 의대는 군 입대 등 학칙상 인정되는 휴학자와 연세대와 전남대 각 1명을 제외하고 모두 등록금을 내거나 복학 신청을 했다. 4월까지 등록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이날까지 복귀 데드라인이 마감된다.

등록률로만 따지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동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러나 등록 이후 첫 수업 날인 31일, 대부분의 의대에서 등록률 만큼의 수업 참여가 이뤄지지 않았다. 많은 의대 학생회가 결정한 것처럼 등록은 하되 수업은 거부하는 형태의 ‘등록 투쟁’으로 이어질 조짐이 보인다. 교육부는 등록률과 복귀율을 모두 고려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결정할 방침이라 이번 주 의대생의 수업 참여 여부가 관건이다.

31일 오전 11시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의대의 한 강의실에서는 임신 중절에 대한 법적 문제 수업이 진행 중이었다. 대형 강의실임에도 수업을 듣는 학생은 5명이었다. 의대 복도에 있는 사물함은 이름표가 빠져 있거나 문이 열려 있는 게 대부분이라 그동안의 공백이 느껴졌다.

의대 학생회 중 가장 먼저 등록 투쟁을 결정했던 연세대뿐 아니라 의대생 전원이 복귀한 지방대도 수업 참여는 저조했다. 당분간 온라인 수업을 하기로 한 서울대와 한림대도 출석자가 누군지 비공개하기로 했지만 참여율이 높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이날 “등록 후 수업 거부(등록 투쟁)를 모든 학생에게 요구할 경우 재학 중인 대학에 따라 제적되는 곳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등록을 했어도 1개월간 무단 결석시 제적되는 학교가 있고, 출석 일수가 모자라면 F학점을 받고 유급 처리가 되는 건 대부분이며 유급 횟수가 쌓이면 제적되는 학교도 있다”며 “지혜로운 결정을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또 일부 의대생 사이에서 ‘복귀해서 정부가 2026학년도 모집인원 동결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과 관련해 구 대변인은 “수업 복귀는 단순한 등록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실질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각기 다른 입장을 가진 관계자가 수긍할 정도의 복귀가 이뤄진다면 정부는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언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동결 여부를 발표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우선 3월 31일 자정까지 등록 현황을 4월 1일부터 집계하고, 이번주 수업 참여 여부도 봐야 하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정상적으로 수업이 운영되는지 여부는 각 대학이 판단할 수밖에 없어 모집인원은 대학 총장, 의대 학장이 다 같이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4월 공고된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하려면 각 대학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4월 30일까지 신청해야 하는 만큼 시간은 한 달 남았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
김민지 기자 minji@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