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경 공식화했지만 여야 선제적 협의 요청
'필수 추경' 경기진작 아닌 산불 피해 복구 지원용
기재부 "10조 픽스는 아냐…여야 동의 따라 변동"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3.23. myjs@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뉴시스]임하은 박광온 기자 = 정부가 산불 피해 복구와 통상 대응, 민생 회복을 위한 10조원 규모 필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공식화하며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정부는 적기 대응을 위한 벚꽃 추경을 편성하기 위해서는 여야간 조속한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경기진작을 위해 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야당의 입장이 배치돼 난항이 예상된다.
다만 역대급 초대형 산불로 최악의 피해가 발생했고, 미국의 상호관세 폭탄도 임박한 만큼 협의를 통한 증액 가능성은 남아 있다.
정부는 전날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간담회를 열어 10조원 규모 필수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여야 간 이견이 없는 시급한 현안 과제 해결에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역대 최대 피해를 낸 산불 등 재난·재해 대응이 중점적이고, 그 외 시급하게 당면한 미 관세전쟁 등 통상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3대 분야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민생은 소상공인 지원 등이 포함된다.
[안동=뉴시스] 이무열 기자 = 29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 마을이 산불로 전소돼 폐허가 되어 있다. 2025.03.29. lmy@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면서 이번 정부의 추경은 야당이 요구하는 '경기 진작'용이 아니라고 밝혔다.
강영규 대변인은 "저희의 목적 자체가 경기진작용이 아니라 어려움에 처하신 산불 피해자분들에게 지원해주는 게 당장 급하고, 지금 임박해 있는 것들이 있으니 그것을 하기 위한 추경"이라고 강조했다.
여야 모두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재정 투입의 시급성은 동의하지만 국민의힘은 15조원, 더불어민주당은 35조원 규모의 추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여야 협상의 여지는 남아있다. 정부는 10조원이 고정돼 있지 않고, 여야 협의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강 대변인은 "10조원이 딱 픽스(고정)돼 있다는 걸 의미하는 건 아니다. 당연히 (여야가) 동의해주면 부처들과 작업을 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1조원이 더 늘어날 수도 있고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여야가 동의한다면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며 "(10조원을 최저한도로) 꼭 그렇게까지 볼 건 아니고 지금 상황에서 이 정도 필요할 거 같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협상에 따른 증액 가능성을 열어뒀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3.31.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당도 여야 협상 과정에서 15조원까지 추경 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기재부는 재난의 시급성을 고려해 빠른 속도로 추경안을 추진해 4월 중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재부는 전날 필수 추경을 추진하는 배경으로 "산불 현장방문 등을 통해 상황의 심각성을 확인했고, 피해복구와 재난예방을 위한 추가 재정투입 필요성이 있어 긴급히 추진하게 됐다"고 부연했다.
그간 기재부는 정부의 추경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가이드라인을 먼저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안동=뉴시스] 이무열 기자 = 30일 경북 안동시 안동체육관에 마련된 산불 대피소에서 이재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2025.03.30. lmy@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감언론 뉴시스 rainy71@newsis.com, lighto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