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 놓치지 말아야 할 이슈, 퇴근길에 보는 이브닝 브리핑에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가 이른바 '5대3 교착상태'(인용 의견 8명, 기각·각하 의견 3명)에 빠진 것 아닌가?
▲ 헌법재판관 2명의 임기 만료(4월 18일) 이후엔 사실상 헌법재판소가 마비되는 것 아닌가?
민주당으로서는 안 좋은 시나리오들입니다.
국민의힘은 '지금 선고하면 기각'이라며 역시 헌재를 압박하고 있는데요, '잔인한 4월'은 여당과 야당 중 어느 쪽을 향하고 있을까요?
"헌재는 을사8적·반역자 될 건가"
이재명 대표는 광화문 천막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복귀는 제2의 계엄을 의미한다", "국민이 저항할 때 생길 혼란과 유혈 사태를 어떻게 감당할 수 있겠나"라며 윤 대통령 파면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헌법재판관들을 향해 "개인이나 집단, 세력의 이해관계가 아닌 국민과 국가, 역사를 생각하길 부탁드린다"고 압박하기도 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금 이 혼란의 원인은 모두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상목 부총리부터 시작됐습니다.
(중략) 헌법재판관도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은 임명하지 않으며 국회의 헌법기관 구성 권한을 침해했습니다. 반드시 그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 이재명 민주당 대표
최고위원들의 발언도 거칠어졌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현희 최고위원은 "내란수괴 윤석열을 복귀시킨다면, 헌법재판관 8인은 '을사8적'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며 "헌법수호자 책무를 다할 것인가, 대한민국을 파국에 이르게 한 헌법과 국민의 반역자로 남을 것인가. 이번 주가 헌재에 남은 마지막 기회"라고 압박했습니다.
헌재가 역사적 책무를 저버리고 내란수괴 윤석열을 복귀시킨다면, 국민은 결단코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내란을 청산하지 못한 헌법재판관 8인은 을사8적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입니다.
- 전현희 민주당 최고위원
김병주 최고위원은 헌법재판관들을 향해 "윤석열이 복귀하면 2차 계엄을 선포할 것이고 북한과 같은 독재 국가가 될 것"이라며 "헌재는 이런 세상을 원하나. 윤석열 파면 주문을 당장 선고하지 않으면 역사의 죄인으로 영원히 기록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민주, 헌재 공백 방지 법안 발의
민주당 등 야권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헌법재판소법 개정도 서두르고 있습니다.
야권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 이성윤 의원 대표 발의한 개정안과 ▲ 김용민 의원 대표 발의한 개정안을 상정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두 개정안에는 ▲ 국회와 대법원이 선출하거나 지명한 재판관 후보자에 대해 대통령의 임명을 의무화하는 내용 ▲ 후임이 임명되지 않은 헌법재판관의 임기를 연장하는 내용 ▲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권을 권한대행이 행사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 등이 담겼습니다.
4월 18일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의 임기 만료에 대비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즉, 마은혁 후보자 임명으로 헌재가 재판관 9명의 완전체를 갖출 수 있도록 하고, 4월 18일이 지나도 진보 성향으로 평가받는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이 임기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한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서 파면 가능성을 높이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법안 상정에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박준태 의원은 "헌법에 나와 있는 재판관 임기를 (법률로) 마음대로 바꾸겠다는 것은 법치 훼손을 넘어 국가 기반을 흔드는 발상"이라며 "헌법에 보장된 것을 일반법으로 치환해 개정하는 게 말이 되나"라며 발끈했습니다.
여당, '기각·각하' 촉구…"빨리 선고하라"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 등 여당 의원 30여 명은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 기일을 신속히 지정하라며 기각·각하 결정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들은 나 의원과 한국NGO 연합이 공동 주최한 '헌재의 신속 탄핵 각하·기각 촉구' 긴급 토론회에서 ▲ 헌법재판소의 선고 일자 즉시 지정 ▲ 마은혁 헌법재판과 후보자 임명 불가 ▲ 민주당의 위헌 입법 중단 등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추 사유에서 내란죄가 빠지면서) 근본적 흠결이 발생한 탄핵 심판 청구는 각하돼야 하고, 본안 판단을 하더라도 명백한 증거 부족과 민주당의 의회 독재적 행태를 고려할 때 기각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 의원은 "이재명 대표의 '탄핵중독·내란 선동'에 이어 헌재의 '무한 연장전'까지 더해지면 국가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고 민주당과 헌법재판소를 싸잡아 비판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가 즉시 선고기일을 지정하고, 우리가 그동안 주장한 것처럼 즉시 탄핵심판에 대해 각하 또는 기각 결정을 촉구하는 바입니다.
-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역사 강사 전한길 씨는 "(야권은) 비상계엄이 '내란'이라고 했지만, 국민은 '계몽령'이라는 것을 알아버렸다"며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실질적으로 60% 이상이다. 감히 어떻게 (파면을) 하겠나"라고 주장했습니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꼽히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4월 18일 임기가 만료되는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의 후임을 신속히 지명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민표 D콘텐츠 제작위원 minpy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