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 1700년 역사상 최초… 비구니 역사 책 출간한 수경스님
“한국 불교 비구니 역사도 1700년
세계적으로 유례 드문 유구한 역사
미래로 가기위해 과거와 현재 조명”
수경 스님은 “세종 때 비구니인 사실 스님은 백성들로부터 생불로 추앙받을 정도로 존경을 받았다”라며 “세종대왕의 다섯 번째 며느리로 사별 후 출가한 혜원 스님이 중창한 견성암은 견성사를 거쳐 지금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발전했을 정도로 역사 속 비구니 스님들의 활약이 대단했다”라고 말했다.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 불교가 1700년 역사라면 비구니의 역사도 1700년이라 할 수 있어요. 그런데 지금까지 비구니 역사를 정리하거나 기록한 책은 단 한 권도 없었지요. 불교계 안에서도 신라 최초의 출가자가 남성이 아닌 여성인 사씨(史氏) 스님이란 걸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한국 불교 1700년 역사상 최초로 비구니의 활동과 역사를 정리한 책 ‘역사 속 한국 비구니’가 나왔다. ‘한국비구니승가연구소’가 출간한 이 책은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역사 속에 묻혀 있던 뛰어난 비구니들을 발굴하고 활동을 정리했다.
지난달 28일 서울 강남구 법룡사에서 만난 수경 스님은 “세계 여성불교 역사에서 천년이 넘는 비구니 역사를 중단없이 이어온 나라는 한국 외에 찾아보기 어렵다”라며 “그 유구한 역사를 이어받아 미래로 가기 위해 과거와 현재를 조명하는 것이 꼭 필요했다”라고 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전국비구니회 수석부회장인 그는 이 책의 기획부터 출간까지 산파 역할을 했다.
―외람됩니다만, 인터뷰 준비를 하면서 비구니가 이렇게 많은 줄 몰랐습니다.
―그럼에도 비구니에 관해 기록된 책이 없었다는 게 이해가 안 갑니다.
―‘상을 세운다’라는 게 무슨 뜻입니까.
“상에는 ‘드러낸다’라는 뜻이 있는데, 여기엔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과시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조용히 수행과 자기가 할 일만 묵묵히 하면 되지, ‘내가 누구다’ ‘어떤 일을 했다’ 하고 드러내는 것을 수행자로서 가벼운 처신이라고 생각하신 것 같아요. 이런 생각에 심지어 윗대 스님들의 자료를 불태운 경우도 있지요.”
―기록이 그리 없으면 자료를 찾는 것도 쉽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비구니 기록이 거의 없었던 데는 남성 중심 문화의 영향도 컸던 건가요.
“아니라고 말할 순 없겠지요. 지금도 주요 보직이나 원로회의 의원 자격은 ‘비구’로 한정돼 있어요. 과거보다 늘기는 했지만, 중앙종회 의원 81명 중 비구니는 10명뿐이지요. 아무래도 공적인 지위나 역할을 하는 사람이 더 많이 기록될 수밖에 없지 않겠습니까. 그동안 가려져 왔던 뛰어난 비구니 스님들과 그들의 활동을 기록하다 보면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될 테고, 남성 중심 문화도 바뀔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제 시작이지요.”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