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2023.07.02 yooksa@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개방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석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통카드 데이터는 대중교통 승·하차 시간 및 장소, 이용 패턴 등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는 신규 버스노선 도입 등 교통정책 수립에 활용해 왔다. '대중교통법'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민간에는 통행량이나 평균 통행시간 등 가공해 집계한 형태로만 제공했다.
국토부는 민간도 교통카드 데이터를 자유롭게 분석하고 가공·활용할 수 있도록 지난해 10월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승인하였다. TS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K-DATA)은 이날부터 보안이 갖춰진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민간에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개방한다.
이번에 제공되는 교통카드 빅데이터는 개인정보가 철저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암호화된 상태다. 사전에 승인을 받은 경우에 한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공간에서만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만 반출할 수 있다. 개인을 특정할 가능성이 있는 카드번호는 가상카드번호로 대체한다.
2026년 12월까지 개방 서비스를 제공한 뒤 이용자 만족도 조사와 활용사례 분석 등 운영결과를 기반으로 필요시 대중교통법 개정도 검토할 계획이다.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한 교통카드 데이터 분석을 희망하는 경우, 데이터안심구역 신청포털 내 전용 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이용신청서를 작성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교통카드 데이터는 사람의 이동경로를 파악해 통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라며 "그동안 민간에는 공급자 중심의 분석지표 제공으로 이용자 수요를 맞추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