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수현이 3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스탠포트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김새론이 미성년자일 때부터 교제했다는 의혹을 비롯한 각종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5.3.31/뉴스1 ⓒ News1 권현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배우 김수현이 고(故) 김새론과의 미성년자 시절 교제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눈물을 쏟은 가운데, 한 변호사가 "기자회견 내용에 알맹이가 없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이돈호 노바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는 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저라면 이렇게 안 했습니다. 현직 변호사의 김수현 기자회견 찐 반응'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영상에서 이 변호사는 전날 열린 김수현의 기자회견을 실시간으로 보며 피드백했다.
김수현이 "저는 '눈물의 여왕' 방영되기 4년 전 고인과 1년여 정도 교제했다. 제가 말하는 것들을 믿지 못하겠다고 하셔도 이해가 된다"고 하자, 이 변호사는 "1년 아니지 않나? 다 내려놓지, 왜 저러지? 지금 다 내려놔야 한다. 지금이 기회다"라고 말했다.
또 김수현이 "저는 늘 모든 것이 두려웠다"고 토로하자, 이 변호사는 "두려움은 밤에 친구들이랑 전화하면서 (토로)해라. 미성년자 김새론과 사귀었으면 사귀었고 도덕적 비난 받겠다고 하거나 안 사귀었으면 왜 그런 카톡을 보내게 됐는지 얘기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수현이 고인과의 사생활이 폭로된 것을 언급하며 오열하자, 이 변호사는 "사생활 폭로가 억울했으면 미리 내려놓고 반성했어야 하는 거 아닌가 싶다. 본인 피해 위주로만 얘기하고 이건 논점 흐리기"라고 말했다.
"명확한 반박 못하고 두루뭉술…재기 불가능"
('이돈호 변호사' 유튜브 채널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세연이 공개한 두 사람의 사진과 카카오톡 메시지에 대해 김수현이 "조작됐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이 변호사는 "어떤 게 어떻게 조작됐는지 말해야지. 그렇게 두루뭉술하게 얘기하면 안 된다. 유족이 공개한 카톡과 (자신이 갖고 있는) 원본 사진을 (함께 띄워두고) 딱 대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2016년 김새론 양이 미성년자일 때 (서로 주고받은) 카톡 공개돼서 우리가 다 보지 않았냐. 동영상도, 사진도 봤다. 그러면 나 아니면 아니다, 그때 공개된 사진은 언제고, 날짜가 조작됐다고 적극적으로 하면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았어야 한다"며 "힘들었다는 건 자기 일기장에 써야 할 내용이다. 쟁점이 명확하게 없다 보니까 자기가 느낀 점을 얘기하는 게 돼버렸다"고 안타까워했다.
배우 김수현(왼쪽)이 3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스탠포트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김새론 측의 카톡 조작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2025.3.31/뉴스1 ⓒ News1 권현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변호사는 "대중이 원하는 건 이게 아니다. 저처럼 김수현한테 관심 없는 사람 많다"면서 "계속 우니까 발음도 망가지고 핵심에 대한 전달이 안 되면서 앞쪽에서는 자기 심경 발표하면서 질질 끌다가 증거 제시하는 부분에서는 금방 끝났다. 뭔지도 명확히 말 안 하고 앞으로 밝히겠다는 거다. 명확한 반박을 하지 못할 거면 안 하는 게 낫다. 우리가 김수현 일기장 보러온 게 아니지 않나"라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부담감이 있었다는데, 그 부담감 때문에 돈을 번 거 아니냐. 이제 와서 부담감 때문에 너무 힘들었다고 하면 (대중이) 받아들이겠냐. 이 사람이 실제로는 자신이 없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 변호사는 "원래 구체성이 없을 땐 '향후 밝히겠다'는 얘기를 한다. 오늘 정말 좋은 기회였는데 아쉽다"며 "대중은 계속 김수현 따라다니면서 얘기를 듣지 않는다. 그건 지나치게 대중에게 자기의 관심을 요구하는 행위다. 차라리 인정할 건 인정하고 멀리 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sb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