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목)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창의적 대응' 언급한 EU…美 빅테크·은행 겨냥 서비스 제재 검토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관세 맞서 '상응 조치' 넘는 공격 나설 수도

"서비스·지식재산권 관련 창의적 대응 배제하지 않아"

유럽연합기와 미국 성조기 ⓒ 로이터=뉴스1 ⓒ News1 이지예 객원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런던=뉴스1) 이지예 객원기자 = 유럽연합(EU)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맞서 미국의 빅테크(거대 기술기업)와 은행을 겨냥한 보복 조치를 검토한다. 글로벌 무역 전쟁이 서비스 부문으로 확전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1일(현지시간)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유럽판에 따르면 EU는 구글, 아마존, 엑스(X) 등 빅테크나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BoA) 같은 대형 은행 등 미국의 서비스 부문을 표적으로 하는 보복 카드를 살펴보고 있다.

EU의 한 고위 관료는 지난달 중순 기자들과 만나 "더 규모가 크고 나은 대응, 서비스 부문이나 지식재산권을 통한 훨씬 창의적인 대응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모든 옵션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철강·알루미늄, 자동차에 전면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2일 세계 각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동안 EU는 일반적인 무역 분쟁 시 대응법대로 할리데이비슨 같은 미국의 상징적인 브랜드에 동등한 수준의 세금을 매기는 식으로 맞섰다.

폴리티코는 기존 EU의 맞대응은 미국의 행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 것일 뿐 무역 전쟁을 '확전'하려는 의도는 아니었지만 이제 새로운 전선을 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이 관세를 넘어 기술 규정 등 비관세 장벽까지 손보겠다고 나선 데 대해 EU가 더 큰 위험을 감수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EU는 미국에 자동차, 의약품, 식료품을 더 많이 수출하지만 서비스 부문은 미국으로부터 수입이 훨씬 많다. 무역 분쟁에서 서비스를 놓고 보다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의미다.

토비아스 게르케 유럽외교관계위원회(ECFR) 수석 정책연구원은 "미국의 거대 기업과 금융산업은 유럽에 깊은 뿌리를 뒀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나치게 나오면 EU도 나사를 조일 수 있다"고 말했다.

EU가 미국 기술기업 디지털 세금 부과, 미 금융회사에 대한 역내 규제 강화, 미 업체들의 역내 사업 허가증 발급 지연 등을 검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EU가 보유한 가장 강력한 무역 보복 조치로 일명 '무역 바주카포'로 불리는 '반 강압 수단'(ACI)을 활용할 수도 있다. ACI를 발동해 아예 미국 기술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제한하거나 미국 기업의 운영 또는 투자를 금지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ez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