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이전에 MBK파트너스가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한 가능성을 잡고 조사 중이라며 부정거래 가능성을 정조준하고 나섰습니다.
MBK가 사재 출연이나 카드 대금채권을 기초로 발행된 유동화증권 전액 변제 등에 관한 약속을 책임지고 이행해야 한다고도 촉구했습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담당 부원장은 오늘(1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황 관련 브리핑'에서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 인지 등에서 그간 MBK·홈플러스 측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되는 등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MBK는 홈플러스 단기신용등급 강등이 확정 공시된 지난 2월 28일부터 회생 절차 신청 준비를 시작했다고 밝혀왔습니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사전에 준비한 거 없습니다. 신용등급 떨어지는 게 확정된 뒤에 저희가 긴급히 검토하고, 연휴 기간 중에 의사 결정을 해서 신청한 겁니다. 그 부분은 저희가 명확합니다.]
하지만 금감원은 적어도 MBK가 말해온 날짜 이전에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을 인지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BK가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를 이미 준비하면서도 6천억 원에 육박하는 단기채권을 발행해 개인투자자·일반 법인 등에게 손실을 떠넘겼을 경우, 동양·LIG 사태처럼 '사기적 부정거래' 등을 적용해 법적 처벌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함 부원장은 "보유 역량을 총동원해 사기적 부정거래 등 각종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고 위법행위 발견 시 엄중 조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밖에도 금감원 측은 "지금이라도 홈플러스는 스스로 약속한 전액 변제, 대주주 사채출연 등에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변제 규모 및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이해관계자와 시장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취재: 배성재, 영상편집: 김나온,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배성재 기자 ship@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MBK가 사재 출연이나 카드 대금채권을 기초로 발행된 유동화증권 전액 변제 등에 관한 약속을 책임지고 이행해야 한다고도 촉구했습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담당 부원장은 오늘(1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황 관련 브리핑'에서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 인지 등에서 그간 MBK·홈플러스 측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되는 등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MBK는 홈플러스 단기신용등급 강등이 확정 공시된 지난 2월 28일부터 회생 절차 신청 준비를 시작했다고 밝혀왔습니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사전에 준비한 거 없습니다. 신용등급 떨어지는 게 확정된 뒤에 저희가 긴급히 검토하고, 연휴 기간 중에 의사 결정을 해서 신청한 겁니다. 그 부분은 저희가 명확합니다.]
하지만 금감원은 적어도 MBK가 말해온 날짜 이전에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을 인지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함 부원장은 "보유 역량을 총동원해 사기적 부정거래 등 각종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고 위법행위 발견 시 엄중 조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밖에도 금감원 측은 "지금이라도 홈플러스는 스스로 약속한 전액 변제, 대주주 사채출연 등에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변제 규모 및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이해관계자와 시장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취재: 배성재, 영상편집: 김나온,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