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서울서 싱크홀 234건 발생…강남·송파구가 52건
전문가들 “잦은 지하공사 원인…안전평가 철저히 해야”
지난달 25일 서울 강동구 명일초등학교 인근 도로에서 전날 발생한 싱크홀(땅 꺼짐) 사고 현장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글 싣는 순서>
-“욕망의 종착지 강남땅, 싱크홀 지뢰밭”...서울서 10년간 234건 땅꺼짐 [싱크홀①]
-“그때 이후 발밑이 두렵다”…공사장 인근 지날 때마다 조마조마 [싱크홀②]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대형 싱크홀(땅꺼짐)이 발생하며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추락해 사망한 가운데, 최근 10년간 서울에서 매월 2건꼴로 싱크홀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5년 33건, 2016년 57건이었다가 2018년 이후 11∼17건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2022년 20건, 2023년 22건으로 다시 늘었다. 지난해에는 17건이었고, 올해 들어서는 지난달까지 명일동 사건 등 6건이 발생했다.
발생 원인을 보면 하수도가 113건, 상수도가 33건이었다. 상·하수도 시설 붕괴로 인한 누수와 그로 인한 토사 유실이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자료 = 더불어민주당 윤종군 의원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문가들은 서울의 경우 과거 한강의 범람원 위에 형성된 만큼 지반이 모래와 자갈로 구성돼 지반이 약한 데다, 과도한 지하 개발과 노후화된 상·하수도로 인해 싱크홀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단순히 상·하수도 노후화로 인한 발생은 싱크홀 크기가 매우 작다. 대형 싱크홀의 경우엔 지하공사가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있는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자료 = 더불어민주당 윤종군 의원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제 이번 강동구 명일동 사고 원인도 다양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지만, 인근 지하철 9호선 연장 굴착 공사와 상수도관 누수 등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강동구 싱크홀 사고 이후 사고 우려가 높은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강화해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도시철도 건설공사구간 42㎞와 주변 보·차도 20㎞에 대해 전면 조사를 실시하고, 추후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장 300여 개소의 주변도로에 대해서도 GPR탐사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박 교수는 “지하공사가 부실공사로 이뤄지고 있지는 않은지 등 철저한 확인이 먼저”라며 “각 지자체는 지하개발 공사가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지하안전평가’를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반침하 사고를 단순한 토목문제가 아닌 생명안전문제로 바라보고 보다 정밀하고 투명한 관리감독 시스템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진우 기자 realston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