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김치 안 먹을 수도 없고"…포장 김치값 15% 급등에 소비자 '울상'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2%대를 기록했습니다. 가공식품이 상승세를 부추겼는데, 특히 우리가 자주 사 먹는 김치가 크게 올랐습니다.

윤서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포장 김치 코너를 서성이는 소비자들. 가격표를 보더니 한숨을 내쉽니다.

김문주 / 충남 공주시
"너무 비싸다 보니까 안 먹을 수도 없고, 먹자니 너무 비용도 많이 들어서."

매년 오르는 김장비용에 김치는 사먹는 게 더 싸다는 것도 이젠 옛말이 됐습니다.

김인선 / 충남 공주시
"예전에는 집에서 해 먹느니 사 먹는게 싸다 생각을 해서. 1만 원어치, 2만 원어치 사면 몇 끼는 그래도 먹었는데 지금은 그렇게 달라고 그러면 안 팔아요."

포장김치는 1년 전보다 15%이상 올랐고, 간단한 한끼를 책임지던 김(32.8%)과 빵(6.3%), 햄(6.0%), 커피(8.3%) 값마저 상승해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졌습니다.

이현영 / 대학생
“계속 세일하는 것만 찾는 것 같아요. 친구들이랑 가면 그냥 인분으로 계산하는 게 아니라 무한리필집 그런 데 많이 가는.”

연초부터 식품업체의 가격 인상이 이어지면서 가공식품 물가는 15개월 만에 최대 폭(3.6%)으로 뛰었습니다.

여기다 보험료(15.1%), 아파트 관리비(4.3%), 난방비(9.8%)마저 올라 물가를 자극했습니다.

사과와 양파, 한우 등 농축산 농가가 밀집해 있는 경북 지역이 대형 산불 피해를 입으면서 물가가 더 오를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TV조선 윤서하입니다.

윤서하 기자(haha@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