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자금줄 말라가는 중소·중견 건설사…ESG경영 '그림의 떡'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소·중견 업체, 경영상 애로사항↑…'가이드라인'도 없어
대형 건설사와 대비되는 전문 인력·자금력 한계


대형 건설사와 달리, 중소·중견 건설사들은 ESG경영 실천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이중삼 기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은 기업가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당장 재무적 성과로 반영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장기적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모든 산업군에서 ESG경영을 핵심 전략으로 삼는 이유다. 이 가운데 건설업은 기후문제 등 'E'측면에서 직접 맞닿아 있는 산업으로 꼽힌다. 어느 산업보다 ESG 영향이 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국내 건설사들은 ESG경영에 공을 들이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은 매년 ESG경영 활동을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내고 있다. 탄탄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환경보호·사회봉사에 적극 나서고 있다. 문제는 중소·중견 건설사다. 자금·인력 부족 등 경영상 애로사항이 많아 ESG 실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건설업 ESG 경영 실태와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 건설사(51~100위 업체)는 ESG경영 추진에 걸림돌이 많았다. 가장 큰 애로사항은 'ESG 가이드라인 부재'(62.5%)였다. 효과 불분명·높은 비용(43.8%)이 뒤를 이었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답한 비율도 37.5%나 됐다. 특히 ESG경영에 대한 준비 현황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 기업 50%가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업계 관계자는 "규모가 작은 업체일수록 ESG경영 추진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며 "재정적·인력 등 여러 요인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건설사는 7곳으로 집계됐다. 지방 미분양 물량 증가와 공사비 인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정용무 그래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윳돈 없는 중소·중견 건설사…'법정관리'행

중소·중견 건설사들은 ESG경영에 난색을 표한다. ESG에 쓸 여윳돈이 없기 때문이다. 이들은 지방 미분양 물량 증가·공사비 인상 등 요인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25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다. 한 달 전(7만173가구) 대비 3.5%(2451가구) 늘었다. 미분양 주택은 지방에 몰려 있다. 5만2876가구로 전체의 약 73%를 차지한다. 문제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지방에 쏠려 있다는 것이다. 전국 2만2872가구 중 1만8426가구가 지방에 있다. 미분양 물량 증가는 이들에게 그야말로 '악재'다. 자금 회수가 안 되면 곧바로 경영 위기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경영난을 견디지 못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사만 7곳에 달한다. 구체적으로는 신동아건설·대저건설·삼부토건·안강건설·대우조선해양건설·벽산엔지니어링·이화공영이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28일까지 폐업을 신고한 종합건설업체도 총 109곳으로, 지난 2011년(112곳) 이후 가장 많았다. 경영을 이어나가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ESG경영은 '그림의 떡'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기업 간 ESG경영 정착을 위한 공동 노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정부는 건설업 특성을 반영한 'ESG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며 "또 기업 ESG경영 활성화를 위해 건설전문교육기관 등을 활용해 건설업에서 필요로 하는 ESG 전문인력 양성과정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건설업 내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 건설 관련 정책·제도에 반영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제도적 유인책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건설업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j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더팩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